전북대병원 암센터, 정부 지정 병원에 선정 / 원거리 지역 서비스 받기 힘들어 대안 필요
정부가 1년 간 시범사업 후 시행 예정인 가정 호스피스(죽음을 앞둔 환자가 평안한 임종을 맞도록 돕는 의료 활동이나 병원) 지원 사업이 전북도내 일부 지역에만 국한될 우려가 크다.
정부로부터 지정된 병원이 전북대병원 암센터여서 전주에서 먼 거리일수록 서비스를 제대로 받지 못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9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복지부는 이번 달 2일부터 말기 암 환자가 자택에서 호스피스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말기 암 가정 호스피스 완화의료 시범사업’을 시행했다.
복지부는 시범사업에 앞서 전국의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기관(66개)를 대상으로 시범사업 참여 병원을 모집했다.
이 중 18개 병원이 신청서를 제출, 정부는 이 가운데 17개의 병원을 지정하고 시범사업을 실시했다. 도내에서는 전북대병원 전북지역 암센터가 선정됐다.
이 사업이 시행되기 전 말기 암 환자들은 가족들과 가정에서 생활하길 희망했으나 관련 제도와 지원체계가 없었다.
실제 지난 2012년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가 말기 암 환자 46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75.9%가 집에서 지내기를 원했고, 가정 호스피스 지원제도 이용의향을 밝힌 암 환자는 89.1%에 달했다.
가정 호스피스는 입원 서비스와 차별을 두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환자는 집에서 증상관리, 상담, 사회적 돌봄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환자 보호자는 사별가족 관리를 받을 수 있다.
또한 매일 24시간 의료진과 전화상담도 가능하다.
환자 부담은 한 달에 대략 5만원 수준이며, 의료진 1회 방문 당 5000원(간호사 단독 방문 시)에서 1만3000원(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 모두 방문 시)이다.
전북지역 암센터에 따르면 하루 평균 방문해 치료할 수 있는 범위는 최대 3가구다
말기 암 환자를 찾아가는 이동시간, 치료, 교육·평가, 기록은 물론 약처방을 받아 약을 지급하기 까지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전북지역 암센터 측은 “전주의 센터에서 차량 운행기준 편도 50분~1시간 내외 거리에 있는 말기 암 환자 가정에 대해서만 지원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며 “도내 지역별로는 구분되지 않으며 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암센터에서 1시간 이상 떨어진 지역은 시범사업기간 동안에는 가정 호스피스 서비스를 받기 힘든 실정으로 제도가 정식 시행되기 전에 대안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호스피스 사업은 공익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정부의 의료수가 보전 등 수익보전이나 인력 보강 등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대상 병원을 확대한다 해도 일부 병원들이 동참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가정 호스피스 시범사업은 서비스 모형과 건강보험 수가의 적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시행하는 것이다”며“제도 구축을 위해 필요한 부분이 있다면 적극적으로 검토해 적시에 반영할 예정이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