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용서에 밀린 방황하는 문학 곁에 다시 오길
21세기에 한국인이 가장 많이 읽은 책은 무엇일까?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가 출간한 「21세기 한국인은 무슨 책을 읽었나」에 실린 ‘21세기 베스트셀러 200’에 따르면 조앤 롤링이 쓴 「해리포터 시리즈」가 약 2000만부로 1위를 차지했고, 다음으로 「만화로 보는 그리스 로마신화」 「WHY시리즈」 「신기한 스쿨버스」「마법천자문」 순으로 집계됐다. 500만부 이상 팔린 책들 모두가 어린이용 소설이거나 학습만화였다.
200위 가운데 경제경영서는 20%(40종)로 분야별로 가장 높은 점유율을 보였다. 20세기말 한국에 불어 닥친 IMF 관리체계의 후유증과 글로벌 시대를 맞이한 현대인들의 자기계발과 재테크, 그리고 실물경제에 대한 관심이 순수문학에 대한 애정을 눌러버린 결과라고 이 보고서는 분석한다.
반면, 과거 20세기 한국 출판계를 호령하던 한국문학은 순위에서 찾아보기 힘든 지경이 됐다. 최인호의 「상도」와 조정래의 「한강」이 겨우 10위권 밖에서 턱걸이를 했고, 총 200위까지 조사된 집계결과를 보면 한국소설은 15%인 29종에 불과했다.
출판시장의 침체가 극에 달한 요즈음, 그나마 책 읽는 한국인은 실용서 만을 열심히 읽고 있으며 이런 열악한 환경 속에 한국문학은 설 자리를 잃어버린 채 흔들리고 있다. 이 한없는 방황을 끝내고 이들이 다시 우리에게 돌아올 수 있는 날이 과연 언제쯤일까.
/양계영 홍지서림 전무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