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 이야기 등 소설의 구성 취한 전문 역사서
책은 이렇게 시작한다. "'그녀는 아름답고 총명했다.' 흐릿한 새벽별을 보며 D는 러브스토리의 첫 구절을 떠올렸다. 얼마나 상큼한 축약인가. 아무리 늘여도 결국 부족한 말. 아무리 길게 써도 결국 모자란 글. … 사랑 ? 얼마나 익숙한 말인가. 하지만 무얼 알까. … 이 구절을 떠올릴 때면, 수백의 나열로도 못내 부족한 A의 이미지가 - 그가 사랑하는 자의 모든 것이 - 강 안개처럼 피어올라 그를 적시기 때문이다."
퀴즈 하나. 위의 글처럼 시작하는 책의 성격은 ? 아마 대부분 소설이라고 답할 것이다. 그러나 이번 경우에는, 아니다. 이 책은 소설은 아니다. 그러나 소설도 들어있다. 그리고 전문 역사서이다.
먼저 저자에 대해. 나는 이미 이 분의 저서를 2006년에 읽은 적이 있다. 「포스트모던 시대의 역사란 무엇인가」(휴머니스트)가 그것이다. 역사 전공자가 아니라도 들어본 적이 있는 「역사란 무엇인가」의 저자 E. H. 카아에게 보내는 편지 형식으로 쓴 역사이론이었다. 그때 나는 이제 한국에도 이런 정도 수준의 역사학자가 나오는구나 하며 흥분해서 여기저기 소개하는 글을 올렸더랬다. 이번에 소개하는 책이 5년 먼저 나온 셈이다.
이 책은 소설의 구성을 취한다. 실제로 1부에는 A와 D의 사랑 이야기이다.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흔히 사랑을 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렇듯 절대를 바라는 D와, 그 절대의 부조리를 자각하기 시작한 A 사이의 균열이 도입부이다. 쉽게 예견되듯이(?) A가 여자이고, D가 남자이다. 나이는? 남자가 훨씬 많다. 아, 이 낯 뜨겁고 가벼운 남성성!
여기서 저자는 중세 11세기의 두 연인, 엘리오즈와 아벨라르라는 기억을 끄집어낸다. 줄리엣의 나이보다 많기는 하지만 아직 16세에 불과했던 엘리오즈와 이미 명성과 업적을 쌓은 학자였던 아벨라르의 비극적 사랑. 그리고 그 기억을 '텍스트로서의 인간 삶의 무한한 해석 가능성'의 본보기로 삼는다. 즉, 엘리오즈와 아벨라르의 사랑에서, 전혀 상반된 아벨라르에 대한 해석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마치 자칫 독자를 우롱하는 것으로 보일 수 있는 '위험한 글쓰기'를 통해, 역사가 얼마나 '위험한 거울'인지 보여준다. 그 사이에 역사가 바로 그 경계를 시험하는 '위험한 학문'이라고 정의한다.
단숨에 읽었던 이 책에는 여러 가지 아쉬움이 있다. 우선 마분지에 거무튀튀한 표지와 형편없는 종이. 9년 전의 책이지만, 당시 한국 출판수준이 이렇게 낮지는 않았다. 뭔가 미학적 고려가 있었는지는 모르겠으나, 내 눈에 띄지 않았다면 지금도 서점 구석에 처박혀있을 지도 모른다.
두 번째 아쉬움은, 역사해석에서 다시 현실로 돌아온 뒤, A에 대한 D의 사랑의 결말에 있다. 뭔가가 어설픈 느낌이다. 역시 소설가는 아니었나, 하는 생각도 든다. 그러나 나 역시 소설평론가가 아니니 일단 덮어두자.
무엇보다도 아쉬운 것은 이 책이 지금 '절판'이라는 사실. 그럼에도 소개하는 이유 ? 좋은 책은 독자가 출판한다는, 출판하게 한다는 나의 신념 때문이다. 나의 소개글을 읽고 뭔가 느낌이 오는 분들은 출판사인 푸른역사나 한양대학교 사학과 김현식교수 연구실로 전화를 하면 된다. 다시 안 찍을 거냐고. 학생들과 협동하여 내가 이렇게 되살린 책이 여럿 된다.
/오항녕(한국고전문화연구원)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