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쏘공' 245쇄, '태백산맥' 200쇄
얼마 전 조정래의 대하 역사소설 「태백산맥」이 200쇄 돌파라는 의미 있는 기록을 세웠다. 한국문학 작품 가운데 다권본으로는 첫 기록이다.
200쇄라고 하면 단일 책이 출간 이후 모두 200번 인쇄됐다는 뜻이다. 통상 한 번 인쇄할 때 3000~5000부를 찍는 것이 일반적인데 출판사와 작품에 따라 적게는 수백 부에서 많게는 수만 부씩 찍기도 한다.
따라서 쇄수가 많다는 것이 반드시 많이 팔렸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지만 여러 번 쇄를 거듭했다는 것은 그만큼 작품이 꾸준한 사랑을 받았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렇다면 「태백산맥」처럼 쇄를 거듭하며 오랫동안 읽힌 문학작품들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태백산맥」에 앞서 1978년 출간된 조세희의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이 2005년 한국문학 작품 가운데 처음으로 200쇄를 돌파해 현재 245쇄까지 찍었다. 누적 판매부수도 100만 부를 훌쩍 넘긴 대표적인 한국문학 스테디셀러다.
최인훈의 「광장」도 161쇄를 기록하고 있으며 이청준의 「당신들의 천국」은 문학과지성사 판이 117쇄, 열림원 전집 판본이 18쇄를 찍어 도합 135쇄다.
2001년 출간된 김훈의 「칼의 노래」도 개정판을 합쳐 모두 148쇄를 찍었다.
모두 1700만 부 이상이 팔린 전 10권으로 된 이문열의 「삼국지」도 1권 기준으로 139쇄까지 인쇄됐으며 김정현의 소설 「아버지」도 출판사를 한차례 바꾸며 모두 145쇄를 인쇄했다.
이와 함께 124쇄를 넘긴 박완서의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114쇄를 넘긴 이은성의 「소설 동의보감」 등도 100쇄를 넘긴 대표적인 문학작품들이다.
시집 중에서는 류시화의 시집 「사랑하라 한번도 상처받지 않은 것처럼」이 2005년 출간된 이후 단기간에 무려 240쇄를 기록하고 있으며 권정생의 「몽실언니」(118쇄), 안도현의 「연어」(109쇄) 등의 동화도 100쇄 이상 꾸준히 출간되고 있다.
법정스님의 대표 에세이 「무소유」는 173쇄까지 나왔다.
외국 문학작품 가운데에도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개미」가 모두 165쇄까지 나온 것을 비롯해 파트리크 쥐스킨트의 「향수」, 움베르토 에코의 「장미의 이름」, 미하엘 엔데의 「모모」 등이 쇄를 거듭하며 꾸준히 읽히고 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