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24 21:12 (Mon)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주말 chevron_right 책의 향기
일반기사

[책의 향기] 광복 65주년…일본을 다시 본다

근현대사 재조명 「쇼와사」 「대일본제국 붕괴」 「후세 다츠시」 출간

광복 65주년을 맞아 일본의 근현대사를 재조명하는 책이 잇따라 출간되고 있다. 일본의 역사학자 한도 가즈토시가 쓴 베스트셀러 「쇼와사」(전 2권·루비박스)는 일본인의 시각에서 본 일본 전전(戰前)과 전후(戰後)의 모습을 증언하고 있다. 쇼와는 일본 히로히토 천황 시대의 연호로 1926년부터 1989년까지를 말한다. 1권(전전편)엔 러일전쟁의 유산인 만주를 일본 땅으로 만들고자 시작된 전쟁이 소련군에게 침공당하면서 무너지는 과정이 담겼다. 2권(전후편)은 패전 당시 중학생이었던 작가가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한 혼란기를 거쳐 기술대국으로 발전해가는 이야기다. 작가는 이 시기의 어리석은 판단이 빚어낸 오류를 통렬하고 신랄하게 증언한다. 하지만 도쿄 재판에 대해 강자의 논리를 내세워 공정치 못했다는 지적이나 한·일 병합, 식민지 지배에 대한 언급이 없다는 점은 아쉽다.

 

 

「대일본제국 붕괴」(바오)는 한국의 '광복절'이자 일본의 '종전기념일'인 1945년 8월15일을 전후한 역사를 파노라마처럼 풀어놓는다. 가토 기요후미 인간문화연구기구 국문학연구자료관 교수는 "특히 일본의 붕괴는 강대국의 분할 점령과 독재정치 등을 통해 한반도에 커다란 상흔을 남겼다"면서 일제 패망 뒤 식민지였던 한국과 대만이 어떤 역사적 경로를 걸어갔는지 추적한다. 가토 교수는 "광복절을 기점으로 조선과 대만은 해방됐지만 결코 찬란한 해방이 아니라 오히려 새로운 고뇌의 시작이었다고도 할 수 있다"고 적었다.

 

「후세 다츠지」(작가정신)는 '일본판 쉰들러 리스트' 후세 다츠지(1880~1953)의 생애를 담은 책이다. 그는 양심적인 인권변호사로, 조선의 독립운동과 관련된 사건 대부분의 변론을 맡은 주인공. 의열단원 김지섭의 폭탄 투척 사건, 박열의 황족 폭살 기도 사건 등은 그가 변론을 맡은 대표적인 사건이다. 그는 관동대지진 이후 수많은 조선인이 죽게 되자 사죄와 함께 책임을 통감한다는 사죄문을 신문에 기고하기도 했다. 그는 2004년 한국 정부로부터 일본인 최초로 건국훈장 애족장을 받았다. 오오이시 스스무 중국 저장대 아시아법 연구센터 명예교수, 작가 고사명씨 이형낭 추오대 교수, 이규수 성균관대 동아시아 학술원 연구교수, 작가 고사명씨 등이 도쿄 고려박물관에서 한 강연 내용과 논문을 정리한 것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