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24 21:00 (Mon)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주말 chevron_right 책의 향기
일반기사

[책의 향기] 한승헌 변호사가 전하는 말 잘하는 법…'스피치의 현장' 출간

"거창한 말·어려운 말·과장된 말은 금물 진심을 꾸밈없이 표현하라"

"말 잘하는 특별한 요령은 없어요. 자신의 진실을 꾸밈없이 표현하는 것이 스피치를 잘하는 비결입니다. 거창한 말, 어려운 말, 과장된 말은 금물입니다."

 

인권 변호사이자 원로 법조인인 한승헌 변호사(76)의 말 잘하는 비결이다. 말하기가 화두인 시대다. 사회에 첫발은 내딛는 순간부터 말 값은 곧 몸값이 되어 버렸다. 아마 마이크 앞에 서서 축사나 인사말 등 여러 상황에 맞는 스피치를 해 본 경험도 누구나 한번쯤은 가지고 있을 것이다. 말 실수 때문에 좋지않은 기억을 갖고 있는 사람이라면 권하고 싶은 책이 바로 「스피치의 현장」(매경출판 펴냄)이다.

 

 

유신시대 시국사건 변호사로 유명했던 한승헌 변호사가 집필한 이 책엔 그가 평생을 쓰고 낭독했던 스피치 102편이 수록돼 있다. 스피치에 관한 책이 서점가에 많이 나와 있지만 한 사람의 스피치를 모아 단행본으로 펴냈다. 모두 10장으로 분류된 이 책에는 축사, 추모사, 개회사, 기념사, 격려사, 취임사, 건배사, 덕담, 주례사에 이르는 내용이 담겼다.

 

한 변호사가 제시하는 '좋은 스피치를 만들기 위한 방법'은 7가지로 요약된다. ▲ 연설문을 쓸 땐 남을 시키지 말고 되도록이면 자신이 써라 ▲ 문안을 쓸 땐 반드시 다른 사람의 검토를 받아 사실관계를 확인하라 ▲ 품위와 격조를 살리되 너무 사무적이거나 통속적인 표현을 피하라 ▲ 문어체보다는 구어체를 쓰는 것이 좋다 ▲ 한 문단을 너무 길게 쓰는 것은 좋지 않다 ▲ 감동을 주거나 기억에 입력될 만한 구체적인 실화를 넣어라 ▲ 쉬운 말과 유머를 배합해 분위기를 잡아라 등이다.

 

한 변호사는 "스피치가 실용문이긴 하지만 틀에 박힌 용어에서 벗어나 자신의 체온과 생각이 담겨야 한다"면서 "원고를 부탁한 사람이 원하는 바를 정확하게 파악해 전달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며 무엇보다 진정성을 강조했다. 또 "스피치에는 듣는 사람에게 감동을 주고 기억에 남을 만한 요소가 있어야 하는데 유머가 큰 몫을 담당한다"고 덧붙였다.

 

법정의 변론과 행사 스피치의 차이점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한 변호사는 "변론은 진실과 인권을 지키기 위한 변호사의 신념이 중요하고 긴 시간에 걸쳐 논리를 전개해야 하는 반면 행사 스피치는 3~5분 정도의 짧은 시간내에 자신이 하고 싶은 말을 담아야 하기 때문에 압축의 묘미가 있다"고 말했다.

 

진안 출신으로 1957년 고등고시 사법과(8회)에 합격하고 서울지검 검사 등을 거쳐 변호사로 활동해온 한 변호사는 민청학련 사건, 김대중 내란음모 사건등 굵직굵직한 시국사건의 변론을 맡는 등 민주화 운동에 헌신해 왔다. 저서로는 「위장시대의 증언」「역사의 길목에서」「분단시대의 법정」「산민객담 2 유머기행」등 다수가 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