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24 19:22 (Mon)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주말 chevron_right 책의 향기
일반기사

[책의 향기] 한학자 기세춘 선생 '논어 강의' 출간

"공자는 건전한 보수주의자"

"지금 책방에 나와 있는 「논어」 번역서들은 모두 폐기 처분되어야 합니다."

 

기존 학계에서 묵적 기세춘 선생(75)은 '불편한 존재'다. 그는 동양 고전 번역서가 왜곡과 변질, 오역으로 넘쳐나고 있다고 지적하며 과격한 발언을 서슴지 않는다.

 

그는 1992년 국내 최초로 「묵자」를 완역하고 수많은 동양 고전 해설서를 내놓은 재야 한학자다. 조선 중기 퇴계 이황과 논쟁을 벌인 성리학자 기대승의 후손이자 구한말 의병장의 손자. 매주 화요일 동학혁명기념관에서 강연을 해오고 있는 그가 논어 해석에 대한 비판적 해설서 「논어 강의」(바이북스 발행)를 출간했다.

 

"학계에선 아무도 경종을 울리지 않습니다. 나야 강단학계의 학맥이나 스승이 없어 자유로우니까 입바른 소리를 해보겠다는 겁니다."

 

그는 「논어」 해설서들이 많지만, 자본주의적 교훈담으로 왜곡된 책들이 대부분이라고 지적했다. 많은 학자들이 공자가 살았던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배경을 면밀히 검토하지 않아 왜곡된 해석이 난무하게 됐다고 꼬집었다. 그는 춘추전국시대는 엄연한 신분계급 사회였으며, 공자는 그 질서에 대한 열렬한 옹호자였다고 했다.

 

"공자는 춘추전국시대를 온몸으로 살아낸 대사상가였습니다. 공자 사상의 핵심이 무엇인 줄 아십니까? 제후들에게 빼앗긴 왕권을 되찾아 주자는 '왕도(王道)', 잃어버린 주나라 예법으로 돌아가자는 '복례(復禮)', 신분과 관직을 올바로 정립하자는 '정명(正名)'입니다."

 

이어 "공자는 구체제의 복고를 위해 '사(士)'로 대변되는 지식인 계급을 내세웠다"며 "공자야말로 건전한 보수주의자"라고 했다. 이에 반해 도올 김용옥의 「논어」 해석은 황당하고 앞뒤가 맞지 않는 이야기라며 공자는 기존 체제와 타협하지 않은 진보적 사상의 소유자일 수가 없다고 꼬집었다.

 

그는 「논어」 뿐만 아니라 「맹자」,「순자」 등을 비교·분석해 공자의 원형 찾기에 나선다.

 

"학문은 비판정신이 생명입니다. 그냥 그대로 답습하려면 왜 합니까. 이제는 논어와 같은 고전의 재번역운동이 필요합니다. 전국 곳곳에서 젊은 사람들 중심으로 고전을 배우려는 이들이 늘어가는 게 반가워요. 그게 바로 내가 희망의 끈을 놓지 않는 이유입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