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체험평가자
'체험평가자'는 '테스터'를 다듬은 우리말이다. '테스터(tester)'는 '제품을 출시하기 전, 혹은 제품 출시 후 소비자들의 반응을 미리 확인해 보거나 제품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미리 사용해보는 사람'을 이르는 말이다.
▲ 홍보 효과
최근 각 분야의 업체들은 범위를 정할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하게 체험평가자들을 공개 모집하고 있다. 대부분의 업체에서는 제품을 시험하기 위해서 체험평가자를 뽑는다. 하지만 최근에는 체험평가자들에게 제품을 미리 체험하게 함으로써 입소문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제품을 알리기 위해서 이들을 모집하기도 한다. 이러한 홍보 방식은 유명 인사를 내세운 광고보다 더 효과적으로 고객에게 다가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소비자들은 유명인을 내세운 광고보다 일반인 체험평가자들의 경험을 더 신뢰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소비자와 비슷한 나이대의 체험평가자는 피부에 와 닿는 내용으로 소비자들의 공감을 얻어내기가 상대적으로 더 쉽다. 일반인 체험평가자가 좀 더 솔직하게 느껴지기 때문이다. 이에 업체들은 경쟁적으로 체험평가자 모집에 힘을 쏟고 있다.
▲ 새로운 일자리
체험평가자들은 새 제품을 공짜로 미리 사용하면서 아울러 돈도 벌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기회를 새로운 일자리로 여기는 경우가 많다. 체험평가자 모집에 높은 경쟁률을 보이는 현상이 이를 입증한다.
체험평가자 입장에서는 돈을 들이지 않고도 좋은 물건을 써 볼 수 있고 때로는 제품을 얻을 수도 있어, 이러한 기회는 일거양득의 일자리가 아닐 수 없다. 체험평가자들은 화장품이나 게임, 음식뿐만 아니라 노래방, 영화관에 이르기까지 많은 부분에서 적극적인 활동을 펼치기도 한다. 아예 체험평가를 목적으로 누리사랑방(블로그)을 만들어 제품을 소개해주는 블로거들도 크게 늘어나고 있다.
▲ 이렇게 쓰세요
체험평가자도 전문성이 필요하다.
게임 출시에 앞서 체험평가자를 공개모집합니다.
정규직으로 체험평가자를 뽑는 경우는 거의 없다.
/ 장미영(전주대 교수)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