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6 20:10 (Thu)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오피니언 chevron_right 이경재 칼럼
일반기사

[이경재 칼럼] 전북 판갈이 '어떻게'가 문제다

이경재(논설위원)

 

마침내 전북 판갈이론이 치솟았다. 전북이 이대로는 발전할 수 없다는 것, 아예 판을 바꿔야 한다는 주장이 그것이다. 토지주택공사(LH) 유치 무산 이후 등장한 판갈이론은 내년 4·11 총선을 앞두고 있어 더 증폭될 조짐이다.

 

전북일보는 창간 61주년 기념일인 6월1일자 통사설에서 "전북이 새로 도약하기 위해선 지금과 같은 패러다임으로는 안된다. 젊고 역동적인 새 틀이 구축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기 위해선 사회지도층의 인적 쇄신을 통한 판갈이가 전제돼야 할 것이다. 자리에만 연연하는 인사들을 퇴출시켜야 마땅하다. 모래알 같은 정치권도 재편돼야 한다. 그럴 때 할퀴고 씻긴 전북도 치유할 수 있다."는 것이다.

 

우연의 일치인가. 최근 참여자치전북시민연대는 '전북의 낡은 리더십을 청산하고 변화의 물꼬를 트자'는 제목의 논평을 냈다. 전북 정치권의 대대적인 물갈이와 낡은 리더십 청산, 도정의 나팔수가 된 관변 단체 인사들의 퇴진, 사이비 언론 척결 등을 세상에 대고 외쳤다.

 

왜 이런 판갈이 주장이 나올까. 전북을 이끌어가는 리더들이 제대로 역할을 하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자리만 꿰차고 앉아 있지, 무엇 하나 속시원히 해결하는 것도 없고 그렇다고 무슨 확실한 비전을 제시한 적도 없다.

 

그동안 내로라하는 숱한 정치인과 지역 유지들이 지역사회를 꾸려갔지만 전북은 과연 나아졌는가. 갈수록 쪼그라들고 있다. 인구는 계속해서 줄고 지역총생산은 16개 자치단체에서 뒤끝이다.

 

반면 요령만 는다. 한자리 차지하기 위해 선거캠프에 몸담는 꼼수나 부리고 인사숨통을 트기 위해 기관· 단체만 늘린다. 조직마다 예스맨들로 꽉 차 있다. 한자리에 세명이 파트타임으로 일하는 경우도 일자리 세개를 창출했다고 통계 내는 판이다. 그러니 전북도와 통계청의 일자리 통계가 엇박자일 수밖에 없다. 전시행정에 길들여진 탓이다.

 

혁신도시 조성 당시 주요 기능군을 놓고 자치단체끼리 티격태격하더니 그 혁신도시 터를 닦던 LH를 경남에 내주고 말았다. 이제와서는 국민연금공단 기금이 330조원이나 되기 때문에 LH보다 낫다는 말도 서슴 없이 한다.

 

LH 유치 무산은 우리 지역사회의 역량이 어느 수준인지 여과없이 보여주었다. 전술 전략과 정보 및 정치력 부재, 정치권의 나태와 책임 회피, 관료주의에서 비롯된 이른바 낡은 권위주의 리더십, 관변 단체의 맹목적인 도정 들러리 등이 적나라하게 드러났다.

 

도정 나팔수 역할을 한 일부 언론들이 지금도 알몸으로 뭇매를 맞고 있고, 국내 최장기 버스파업 사태에 대한 정치권의 눈치보기와 무기력증도 두고두고 입줄에 오를 것이다.

 

고립무원의 전북. 이런 실정일 진대 뭘 더 기대하겠는가. 전북이 새롭게 발전하기 위해서는 새 패러다임과 인적 쇄신, 즉 판갈이가 필요하다고 보는 것이다.

 

문제는 판갈이를 어떻게 가능하게 할 것인가에 있다. 정치권은 내년 총선이 분수령이 될 것이다. 퇴출, 수도권 출마, 정계은퇴 등을 거론할 수 있지만 강제할 방법이 없다. 선출직 단체장은 어떻게 할 것이며, 물러나야 할 관변 인사가 버티고 앉아있다면 또 어떻게 할 것인가. 도민운동? 어려운 문제다.

 

전북은 지금 너무나 침체돼 있다. 생각은 고루하고 행동은 머뭇거리면서도 자기방어에는 철벽이다. 이런 퇴영적 패러다임을 바꾸지 않고는 전북이 새롭게 태어나기 어려울 것이다.

 

권력이나 자리에 대한 욕심은 마시면 마실수록 갈증을 느끼는 바닷물과 같다. 판갈이의 장애물도 그런 욕심 많은 인사들이다. 물러날 때 물러나지 않고 권력의 맛을 계속 누리려 한다면 너무 추하다.

 

/ 이경재(논설위원)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오피니언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