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환승 전북체육회 사무처장
2011년 지식경제부에서 발간된" 웰리스 융합 신산업 발전 전략"보고서에 따르면 웰리스는 높은 수준의 삶의 질을 추구하고, 질병의 예방, 건강증진, 생활의 관리를 통해 건강한 생활을 추구하는 것으로 신체적, 환경적, 정신적인 측면에서 구체적인 세 가지 활동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는 셀프케어로 개인의 건강증진을 위한 활동, 둘째는 리빙 케어로 건강한 환경구축, 셋째는 웰리스 엔터테이먼트로 즐거움을 위한 활동을 말한다. 여기서 말하는 셀프케어는 휘트니스, 식이관리, 뷰티로 신체적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활동이고,
리빙 케어는 기능성 웨어, 인간공학적 제품, 위생환경등의 쾌적한 생활 환경조성을 통해 건강을 추구하는 활동이며, 웰리스 엔터테이먼트는 휴양, 레져스포츠, 스트레스해소와 정신적인 즐거움을 위한 활동을 말한다.
웰리스에 대한 관심은 일반인들 사이에서 체력증진을 위한 유·무산소성 운동에 대한 수요의 증가는 지속되고 있다. 예를들면, 현재 급속하게 확산된 걷기, 자전거타기 등이다. 이것은 공원이나 강변에 잘 갖추어진 조깅코스는 운동문화 대중화에 큰 공헌을 하고 있다.하지만, 이러한 수요 트렌드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웰리스기반 스포츠산업은 성장측면에서 정체되어 있는 것이 현실이다.
2008년 문화관광부의 국민생활체육활동 참여 실태조사에 따르면, 주2~3회의 규칙적인 체육활동 참여율이 34.2%로, 비 참여율은 53.2%로 선진국에 비해 체육활동 참여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응답자의 87%가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소비자의 요구를 반영한 참여 여건의 조성과 생활체육 문화의 확대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경우 내수시장의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전라북도 체육회 스포츠과학센터에서도 엘리트 선수 체력프로그램과 일반인의 운동처방 프로그램을 통한 개인 운동관리 서비스를 병행하여 실시하고 있다. 이는 소비자의 실질적인 요구를 반영하여 운동참여 동기를 부여하는 것으로 단순히 휘트니스 시설과 기기개선에 머물지 않고 핵심적인 서비스를 반영한 복합적인 시스템적 웰리스 환경구축의 시도인 것이다.
이러한, 기반시설의 확대는 웰리스 기반 스포츠산업 활성화는 물론, 스포츠참여활동 인구의 확대에 기여 할 것이다.
즉, 지역 특성을 살린 헬스파크조성, 기존 체육시설을 활용한 엘리트선수 및 동호인을 유치할 수 있는 특성 종목별 전지훈련 장소로 최적의 환경시설 개선, 체육회 스포츠과학센터처럼 건강증진 및 맞춤형 체력프로그램 서비스 제공 등이 있으므로 스포츠를 통한 웰리스 문화조성이 될 것이다.
이로 인해 이용자들이 내수면 지역별 스포츠시설을 자연스럽게 이용하도록 사회적인 수요 트랜드를 반영한 서비스접목 상품을 지자체별로 연구가 되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