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7 04:00 (Fri)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오피니언 chevron_right 전북광장
일반기사

에코시티, 전주-완주 통합에 도움이 되는가

전주시 에코시티 사업 완주군 장기발전 저해 통합 추진 방해할 수도

▲ 김황용 前 전주 완산구청장
전주시가 35사단 이전 후 조성할 계획인 에코시티를 두고 최근 논란이 분분하다. 전통문화도시 등 가장 한국적인 도시를 표방하는 전주시의 비전과 부합하지 않다는 것과, 나아가 전북 최대 현안인 전주-완주 통합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게 논란의 핵심이다.

 

에코시티는 35사단 및 항공대 이전에 따라 전주시 덕진구 호성동과 송천동, 전미동 일원 1.99㎢에 총 2515억원을 투입하는 도시개발 사업이다. 하지만 에코시티 개발이 과연 '가장 한국적인 도시'를 표방하고 있는 전주시의 비전을 충족시키는지는 의문이 많이 따른다.

 

현재 전주시의 모습은 무리한 개발논리에 도심은 황폐해져가고, 이에 따른 열섬현상이 여름마다 시민의 불쾌지수를 높인다. 전주시가 도심 속 녹지공간이 거의 사라져 '회색도시'로 변하는 상황에서, 무려 1만3000세대 이상의 아파트 건설을 골자로 하는 에코시티를 개발한다는 것은 품격있는 도시로의 발전은커녕, 전주시민을 더욱 도시의 각박한 환경에 옥죄게 만드는 꼴이 되고 만다.

 

미국 뉴욕의 센트럴 파크나 일본 도쿄의 요요기 공원 등 도시숲과 같은 도심 녹지공간은 무분별한 도시 팽창을 막고, 도시공간의 골격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환경생태·경제적으로도 중요한 기능을 담당한다.

 

그래서 전문가들은 도시숲 조성은 현 세대는 물론 적어도 100년 앞을 내다보는 시민건강과 녹색복지를 위한 가장 확실한 투자라고 입을 모은다. 현재 35사단은 수십년 수령의 나무가 많고, 자연보전 상태가 훌륭하는 등 도심 속 녹지공간으로 손색이 없다.

 

무엇보다 에코시티 개발이 우려스러운 점은 현재 성사 가능성이 거의 유일한 전주-완주 통합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준다는 점이다.

 

LH본사와 프로야구 10구단 유치 실패로 도민의 실망감은 어느 때보다 극에 달하고 있다. '패배의 심리'가 전북의 하늘을 짓누르고 있다. 전주-완주 통합은 패배에 넌더리가 난 전북에 우리도 할 수 있다는 희망을 주는 현안이다. 어떻게 해서든 도민의 역량을 모아 통합을 이뤄내야 하지만, 에코시티는 이를 저해할 가장 큰 변수다. 아니 에코시티는 완주지역의 발전동력을 빨아들이는 블랙홀이 될 가능성이 크다.

 

현재 완주군은 삼봉지구 6213세대 등 1만8286세대의 주택을 오는 2020년까지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여기에 통합 공동건의시 합의한 10대 상생발전사업에는 완주군에 대단위 택지개발을 추진한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사정이 이럴진대 1만3126세대의 아파트를 분양하는 에코시티를 건설하겠다는 것은 공멸이나 마찬가지다. 더욱이 통합을 반대하는 완주군민의 우려와 불신을 증폭시킬 것이다.

 

사업의 정체성과 시의성 면에서도 에코시티는 문제가 많다. 에코시티 개발의 핵심 아젠다로 전주시는 '북부권 개발'을 내세우고 있지만, 전주-완주 통합이 논의되는 상황에서 그 바운더리(boundary)는 35사단을 넘어 삼례와 봉동, 신청사가 들어설 용진, 고산 6개면으로 확대되는 것이 타당하다. 쾌적한 주거환경의 실현 등 전주권 발전의 최적지가 바로 이 곳이란 얘기다. 또한 20년전 완주군과의 경쟁 구도 하에서 입안된 도시계획을 지금껏, 게다가 완주군과의 상생을 넘어 통합까지 논의되는 마당에서까지 고집하는 것은 각주구검(刻舟求劍)의 우를 범하는 일이다.

 

알려진 바에 의하면 완주군은 공동건의 직후 상생발전협의회를 통해 "전주시와 완주군의 장기발전 차원에서 에코시티 조성을 중단하거나, 최소한 5년 이상 사업을 유보해달라"고 요청했다고 한다. 이에 대해 전주시는 해당지역 주민의 반발, 35사단 이전 마무리, 행정의 공신력 실추 등을 들어 지속 추진 입장을 밝혔다.

 

하지만 상기(上記)한 것처럼, 에코시티는 '가장 한국적인 도시'를 지향하는 전주시의 미래, 그리고 새로운 전북발전의 동력이 될 전주-완주 통합에 악영향을 주는 사업이라고 본다. 눈 앞의 소의(少義)에 집착해 후손에 해를 끼치지 않도록 전주시의 혜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오피니언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