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의 잠룡들이 기지개를 켜면서 대한민국이 점차 대선국면으로 들러서고 있다. 저마다 대한민국의 아젠다를 선점하기 위해 국민들의 눈길을 사로잡을 만한 정책들을 제시하고 있다. 어떤 지도자를 뽑느냐에 따라 나라의 방향이 좌지우지된다. 그렇다면 대한민국의 선장을 뽑는 선거에서 전라북도는 어떤 자세를 취할 것인가.
전북, 광주보다 '충청'에서 배워야
지난 4·13총선에서 전북은 20년 만에 여당후보를 배출했다. 대구 김부겸, 순천 이정현, 부산 이정현과 함께 전주 역시 지역장벽을 뛰어넘는 후보를 선출함으로써 지역장벽 극복 4인방을 만들어낸 주역 도시가 됐다.
전북은 여당의원 한명을 배출함으로써 그 효과를 톡톡히 보고 있다. 전북도를 비롯해 14개 시·군 공무원들에게는 정부여당으로 통할 수 있는 통로가 생김으로 인해 예산확보에 지름길을 확보하게 됐다. 그동안은 예산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주로 야당의원의 도움을 받을 수밖에 없는 구조였다. 한쪽 통로만 있는 셈이었다.
그러나 이번에 여당통로가 생기면서 중앙정부에 접근하는 두 가지 길이 열린 셈이다. 이러한 효과 덕분인지 기획재정부를 포함해 정부가 고개를 저으며 반대했던 새만금 남북2축 도로 314억 예산이 정부단계에서 반영됐다. 또한 새만금 예산이 작년보다 630억이 증액된 6600억원이 반영됐다.
주로 국회단계에서 전북예산이 증액됐는데, 이번에는 정부단계에서 예산이 증액된 것이다. 이것이 바로 여당의원 배출의 효과가 아닌가 한다.
20대 국회에서 전북은 서로 경쟁하는 정치지형을 만들어 냈고, 이를 통해 ‘메기효과’를 톡톡히 보고 있다. 미꾸라지만 사는 곳에 메기 한 마리를 풀어놓으면 긴장감으로 모두 건강해진다는 이론이다.
전북도민들이 국회의 세력을 경쟁체제로 바꾸었다면, 이번에는 대선에서도 ‘균형 감각’ 있는 투표가 필요할 것이다.
역대 전북의 대선 지지도를 살펴보면, 새누리당 세력 대 더민주당 세력이 김대중 때 4.54 : 92.28, 노무현 때 6.19 : 91.58, 이명박 때 9.04 : 81.60, 박근혜 때 13.22 : 86.25로 나타난다. 한 쪽 세력에 표를 몰아준 것이다.
이것은 광주의 투표행위와 비슷하다. 광주전남역시 한쪽 세력에 몰표를 주어왔다. 그로인해 반대 세력은 설자리를 잃었다. 정치토양이 극단으로 치달았다.
이에 반해 대전충남충북의 경우는 여당과 야당에 고르게 표를 분산해 왔다. 때로는 지역당에 표를 주기도 했다. 호남이 김대중과 노무현, 정동영에게 표를 몰아줄 때 그들은 적절하게 표를 분배해 서로 경쟁을 시키는 지혜를 보여주었다. 19대 국회에서 새누리당 : 더민주당 국회의원 비율이 12 : 9, 20대 국회에서 14 : 12로 어느 한쪽에 표를 몰아주지 않았다. 황금비율의 표분산을 통해 각 정치세력이 지역발전을 위해 경쟁할 수 있는 구도를 만들어 낸 것이다. 이러한 노력으로 지난해 충청권의 인구가 호남을 앞섰고, 세종시라는 특별행정구역을 만들어 내기도 했다. 정치권의 경쟁구도를 통해 지역발전의 동력을 만들어 가고 있다.
여야 공존하는 '쌍발통' 정치 필요
이번 대선에서 전북에게 꼭 필요한 것은 ‘경쟁의 정치지형’을 만들어 내는 것 이라고 생각한다. 과거처럼 한쪽 세력에게만 일방적으로 표를 몰아주는 것은 전북발전에 큰 도움이 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학습효과는 충분히 거두었다고 생각한다. 이제는 광주모델 보다는 충청의 모델을 배울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