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6 19:46 (Thu)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주말 chevron_right 건강칼럼
일반기사

[쯔쯔가무시병] 백신 없어 예방이 최선

산행과 농사일이 많은 가을에 유독 사람들을 괴롭히는 감염병이 있다. 동물들의 배설물이나 모기, 진드기 등에 의해 발생되는 가을철 열성 질환들이 그것이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쯔쯔가무시이다.

 

낯설고 특이한 이 질환의 이름은 곤충에 의한 질병이라는 뜻의 일본어(쯔쯔가(つつが,병), 무시(むし,곤충))에서 왔다. 쯔쯔가무시병은 오리엔티아 쯔쯔가무시(orientia tsutsugamushi)라는 병원균에 감염된 털진드기나 그 유충에 물려 발생한다. 진핵세포의 세포 안에서 기생하는 불완전한 세균의 일종으로 다른 균과 달리 세포벽이 없고 세포 안에서 숙주 세포의 세포소기관을 이용해 생존·번식한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보편적으로 쓰이는 일부 항생제에는 죽지 않는다.

 

털진드기는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되어 있는데 덤불에 사는 털진드기의 0.1~3%가 오리엔티아 쯔쯔가무시에 감염되어있다고 한다. 감염된 털진드기, 특히 그 유충에 물려서 균이 사람에게 전염된다. 털진드기가 증가하기 시작하는 9월부터 감염이 늘어나 10·11월에 절정에 이른다. 벌초와 성묘, 등산이나 추수 등의 야외활동이 증가하는 것도 이 시기에 쯔쯔가무시병이 증가하는 원인이 된다. 노출된 피부 부위, 사타구니나 겨드랑이 등의 습한 부위, 엉덩이, 두피 등에 진드기가 달라붙어 체액을 흡인하는데 털진드기에 물릴 때에는 통증이나 가려움이 없어서 물리는 것을 알아채기가 어렵다.

 

균에 감염되면 잠복기(평균 10~12일)를 거친 후 발열·오한·두통·근육통이 발생한다. 눈이 충혈되고 식욕이 없어지며 무기력증이 생기는 경우도 흔하다. 기침, 호흡곤란 등의 호흡기 증상과 설사 등이 나타날 수 있고, 커진 림프절이 만져지는 경우도 있다. 반점이 나타날 때도 많은데, 몸통에서 생겨 팔다리로 번져나가는 양상을 띤다.

 

혈액검사에서 백혈구의 감소나 증가, 혈소판 감소가 나타날 수 있으며 간기능 이상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간효소치가 증가하고 알부민이 감소하는 등의 간 기능 이상을 나타내는 혈액검사 결과를 흔히 볼 수 있다. X-ray 사진에서 폐렴 소견을 보이기도 한다.

 

중증에서는 신장기능과 심장 기능에 이상을 일으키기도 하고 신경에 영향을 주는 경우도 있다. 드물게는 패혈증으로 인해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

 

쯔쯔가무시병이 진단되면 균을 죽이기 위한 항생제 치료와 증상과 합병증에 대한 치료를 병행한다. 일반적으로 독시사이클린을 5일에서 7일 사용하지만 환자 상태나 균의 내성 여부에 따라 다른 약제를 사용하거나 치료 기간을 조절해야 한다. 해열제와 진통소염제로 증상을 완화시키고 신장·폐·심장·신경계의 합병증이 나타나면 전문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쯔쯔가무시병에 대한 백신은 없으므로 진드기에 물리지 않게 조심하는 것이 최선의 예방법이다. 덤불이 많은 곳에서의 야외활동은 되도록 피하고 야외활동을 할 경우에는 긴 옷을 입어 노출부위를 최소화해야하며 풀밭에 앉거나 눕지 말고 옷을 널어놓지 않도록 한다. 야외활동 후에는 옷을 바로 세탁하고 샤워를 해야 한다. 곤충기피제를 몸이나 옷에 뿌리는 것도 예방에 도움이 된다.

 

쯔쯔가무시병은 두통 발열 근육통 등의 초기 증상이 감기와 비슷해 진단과 치료가 늦어지는 경우가 있다. 최근에 산이나 들에서 야외활동을 한 후에 이런 증상이 나타나면 쯔쯔가무시병을 비롯한 열성질환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가까운 병원을 찾아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아야 할 것이다.

 

임태수 부안드림병원 진료부장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