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의 4·15 총선 후보자가 확정됐다. 이로써 도내 10개 지역구 여야 대진표가 윤곽을 드러낸 가운데 막판 야권연대 여부가 초미 관심사다. 민주당은 지난 주 전주갑·전주을·남원임실순창 등 3곳에 대한 공천자 발표를 끝으로 한달 가까이 진행된 공천작업을 마무리했다. 특히 이중 6개 지역구는 치열한 경선을 통해 후보를 가려냄으로써 본선 경쟁력을 한층 높였다는 평가다. 하지만 당초 약속한 여성과 청년층에 대한 정치적 배려와 인재발굴 노력은 시늉에만 그쳤다는 지적이다.
민주당 공천은 처음부터 순탄치 않았다. 투명하지 못한 공천과정과 불공정한 경선방식에 탈락자들이 이의를 제기하며 재심을 신청하는가 하면 탈당해 무소속 출마를 강행하기도 했다. 이뿐 아니라 일부 지방의원들이 공개적으로 특정후보 지지를 선언하면서 민심이반을 초래하는 자충수를 두기도 했다. 이렇듯 말 많고 탈 많은 공천과정에서 권리당원과 여론조사(ARS) 투표방식의 후보 선출문제에 도마에 올라 바꿔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코로나19 공포가 전국을 휩쓸면서 총선 열기도 다소 식어버렸다. 서민경제가 멈춰서고 일상이 파행을 겪으면서 민심도 술렁인다. 한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정국에서 여야도 총선을 대비한 공천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번에 치러지는 선거야말로 문재인정부의 명운이 걸렸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승패여부에 따라선 향후 정치권의 권력지도가 재편되기 때문에 여야 물러설 수 없는 한판승부가 예고돼 있다.
이런 상황에서 총선을 앞둔 전북 정치권 움직임도 심상치 않다. 원래 강력한 지지기반인 민주당과 야권통합 기치를 내건 민생당의 2파전 구도를 예상했으나 이상기류가 감지되고 있다. 지난 5일 임정엽 후보가 민생당을 탈당해 무소속 출마를 선언했다. 현역인 김종회 후보도 탈당결심을 굳혔다는 얘기가 돌면서 뒤숭숭하다. 그런데다 무소속연대 움직임도 꿈틀대면서 선거판은 요동치고 있다.
바라건대 깨어있는 유권자의 눈으로 총선 후보자들을 꼼꼼하게 체크하고 검증해야 한다. 국회의원은 지역의 대변자인 만큼 아무리 어렵고 힘든 상황에서도 제대로 된 인물을 뽑는 데 주의를 게을리 해서는 안된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