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5 00:42 (Wed)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오피니언 chevron_right 전북칼럼
일반기사

제주도 다음으로

한병성 전북대 명예교수
한병성 전북대 명예교수

「OOO 제주도 다음으로 최하위」 모 신문사 박스기사 타이틀이다. 정부가 발표한 통계자료를 인용해서 작성되는 기사들 대부분을 살펴보면, 전라북도의 상황이 매우 나쁘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용어들 중 가장 많이 인용되고 있는 단어가 「제주도 다음으로」가 아닌가 싶다. 이 말이 전달하고자 하는 뜻은 전국을 대상으로 실적을 평가할 때, 전라북도가 면적이 가장 작은 제주도 다음으로 꼴지에 해당한다는 것이다.

이 지역에서 삶을 뿌리 내리고 살아온 한 사람으로서, 제주도 다음이라는 말은 이제는 정말 더는 듣고 싶지 않는 말이 되었다. 이렇게 무시를 당하고, 정주 여건도 좋지 못해 겪어야 하는 불편함을 감수하며 살아가는 것은 이제는 더 더욱 싫다.

우리도 잘 살 수 있다. 발전할 수 있다. 그렇다, 앞설 수 있는 충분한 잠재력을 갖고 있다. 근대사에서만 살펴봐도 이 지역이 중심적인 역할을 한 혁신적인 사건들이 많았다. 최초의 민주항쟁인 동학혁명이, 이 땅에 민주주의를 꽃피게 한 6월 항쟁이 그랬었다. 이런 역사가 말해주 듯 우리 도민 스스로 개척할 수 있는 저력이 우리 안에 잠재되어 있다. 우리의 생각을 바꾼다면 해낼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선 변해야만 한다.

그 무엇보다도 변화를 위해선 누구든지 먼저 스스로가 기존의 틀을 깨 부셔야 한다. 어쩌면 지금보다 더 철저하게 부서지고 낮아져 바닥을 쳐야만 할 것이다. 그래서 더는 밑으로 내려 갈 수 없는 절박한 심정이 되어야 한다. 그런 후, 바꿈에 대한 두려움을 걷어내자. 다음으로 지금의 나를 정확히 알아야 한다. 나의 현실, 나의 능력, 나의 장점과 단점을 정확히 알고 나서, 성장에 불필요한 것은 과감하게 버려야 한다. 불필요한 것, 성장을 방해하는 것들은 바꾸는 정도가 아니라 냉정하다 할 정도로 과감하게 잘라내야 한다.

그렇다면 당장 큰 어려움 없이 바꿀 수 있는 것들에는 무엇이 있을까. 우선 친절해 보자. 타 지역 사람들에게 배타적이지 말고 마음을 활짝 열어 포용하자. 음식점에 가보면 서비스 정신이 없다고들 한다. 혁신도시에 이전해 살고 있는 공공기관 임직원들을 만나보면 이런 점이 부족해 보인다며 많이들 아쉬워한다. 도움이 필요하면 편하게 주저하지 말고 도움을 요청했으면 한단다. 그들은 기쁘게 도와주고 싶어 하고, 또 돕는 과정을 통해 서로를 이해하고 가까워질 수 있는 기회도 만들고 싶어 한다. 어느 분야에서 건 우리보다 앞서 있는 이들에겐 도와달라고 청하자. 질서를 더 잘 지키는 것도 기본이다. 산업시설이 부족해서 일자리를 찾아 젊은이들이 떠나고 있다. 텅 빈 지역 사회에 지금 당장 공장을 건설하여 그들을 붙잡을 수 없다면 우리 주변이라도 청결하고 아름답게 가꾸어 매력적인 청정도시를 만들자. 그러면 이곳에서 제 2의 보금자리를 만들고 싶어 다시 찾아오는 도시가 될 것이다. 지역통합,  KTX  역 신설등과 같은 지역의 중요한 현안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보수적으로 응대하지 말고 열린 마음으로 의사결정을 할 필요도 있을 것이다.

변화의 답은 멀리 있지만은 않다. 이런 작고 기본적인 것부터 시작하는 것이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닌가 싶다. 사소하고 상식적인 선에서 작고 기본적인 변화를 시작으로 더 큰 혁신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정부나 정치권이 바뀌면 더 확실하고 더 빠른 더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겠지만, 그들만을 탓하며 손 놓고 있을 수는 없지 않는가. 그러니 우리가 먼저 변화하자. 혁신해서, 우리도 앞서가는 도가 되어 보자.

/한병성 전북대 명예교수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오피니언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