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의 경제지표가 여전히 전국 최하위권에 머물러 미래 첨단 산업으로 산업 구조 개편을 서둘러야 한다. 전북은 산업화 과정에서 뒤처졌던 만큼 쇠락해가는 전통적인 제조업 대신 미래 산업을 선도하는 유망 신산업 발굴과 유치에 주력해야 한다.
한국은행 전북본부가 밝힌 지난 2019년 기준 전북의 경제력지수는 5.30으로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낮았다. 부문별로는 취업 여건을 제외하곤 인력기반 소득수준 SOC 및 재정력 산업발전 등이 전국평균을 밑돌았다. 1인당 GRDP는 28474만 원으로 전국 평균 3721만 원의 77%에 불과했다. 1인당 지역총소득과 가계최종소비지출액도 각각 2826만 원과 1500만 원으로 17개 시·도 가운데 16위로 꼴찌 수준이다.
전북의 수출과 수입액 역시 전국 비중이 미미하다. 지난해 전북의 수출 총액은 58억4600만 달러로 전국 대비 1.1%에 불과했다. 수입 총액도 47억7100만 달러로 전국의 1%에 그쳤다. 반면 인접한 충남의 수출입 총액은 각각 795억6100만 달러와 264억4800만 달러로 전북보다 각각 13.6배와 5.5배나 많았다.
전북의 각종 경제지표가 뒤처지는 것은 제조업과 광공업 비중이 24%로 낮은 반면 서비스업 비중은 65%로 지나치게 높기 때문이다. 더욱이 전북 제조업의 큰 축을 담당했던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가 4년째 가동 중단 상태이고 한국지엠 군산공장이 문 닫은 데다 현대차 전주공장마저 생산물량이 급감하는 등 제조업의 쇠락이 전북경제를 크게 위축시키고 있다.
전북 경제의 쇠락을 막고 새로운 활로를 찾으려면 미래 유망 신산업으로 산업구조를 전면 개편해야 한다. 지금처럼 농업과 서비스업 비중이 높은 데다 전통적인 제조업에만 의존하게 되면 전북의 산업 기반 붕괴는 불 보듯 뻔하다. 또한 앞서가는 시·도지역의 산업 트렌드를 뒤따라가면 뒷북 대응에 그치면서 여전히 전국 꼴찌 수준의 경제 규모를 벗어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미래 산업을 선도하는 첨단 신산업 발굴과 기업 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산업경제의 재도약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자치단체장과 정치권 경제계가 함께 머리를 맞대고 지혜를 모아야 할 때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