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도 전주 완주 통합이 해를 넘기게 됐다. 전주 완주의 통합의 당위성은 재론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절박한 문제다. 그런데도 안되는 이유는 한두가지가 아니지만 전주시민만 찬성하고 완주군민 다수가 찬성을 안하기 때문이다. 결론부터 말하면 전주 완주가 통합하려면 완주군민이 주체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통합 추진작업을 살펴보면 전주시민들만 일방적으로 나서온 탓에 통합작업이 안된 것이다. 완주군민들은 통합에 별로 탐탁스럽게 여기지도 않는데 전주시민들이 일방적으로 통합해야 한다고 주장하기 때문에 엇박자가 난 것이다.
전주 완주가 통합하려면 시간에 얽매이지 말고 완주군민들이 통합의 진정성을 받아들이도록 전주시가 적극 노력해야 한다. 마치 사탕발림식으로 진정성 없이 완주군민들을 현혹해선 안된다. 통합해야겠다는 마음이 스스로 생겨나도록 진정성 있게 접근해야 한다.. 그간 완주군민들은 알게 모르게 피해를 많이 봤다. 전주시 도시 팽창에 따라 혐오시설에 해당한 일련의 시설들이 전주 인접의 완주군에 들어섰다. 환경을 오염하고 훼손시키는 시설들이 속속 들어선 탓이 크다. 그렇다고 완주발전에 크게 도움준 것도 없이 일방적으로 혐오시설만 들어섰다. 그 럴때마다 피해보상 같은 건 이뤄지지 않고 시설들만 들어서 완주군민들의 의사가 무시당했다.
전주시민들은 그간 완주군민들이 입은 피해를 잘 헤아리지 못하고 있다. 무슨 피해를 입었길래 그러냐고 되물을 수 있다. 그러나 전주시쓰레기소각장 건설을 위해 완주 이서면 상림리 일대를 야금야금 먹어 치운 것을 비롯 전주시가 그간 알게 모르게 완주군 인접지역을 시로 편입시켰다. 시로 편입시킬 때마다 사탕발림정책을 폈을 뿐 진정으로 지역개발은 뒷전으로 밀리고 말았다. 시 편입으로 공시지가만 상승해 세금부담만 있어왔지 완주군에 있을 때보다 복지는 오히려 뒷걸음질 쳤다.
전주 완주통합은 충북의 청주청원을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 파이를 키워 양지역이 상생발전하고 있는 것을 본받아야 한다. 아쉬운 것은 김승수 전주시장과 박성일 완주군수가 내년 지방선거에 불출마키로 했을 때 다소 동력이 떨어졌지만 통합작업을 하겠다고 선언했어야 했다. 꺼진 통합의 불씨를 살려 놓을 수 있는 좋은 기회를 놓쳤지만 지금도 늦지 않았다. 특히 김 시장이 통합시장은 완주출신이 맡도록 하고 그간 완주군민들이 입은 피해를 위무하기 위해서라도 특별회계를 편성해 조건없이 전액을 주겠다고 선언하면 된다. 또 통합전이라도 완주군민들이 전주시민과 똑같은 대우를 받도록 해주겠다고 약속하면 된다.
지금 다른 시도는 광역권 행정통합을 한다고 난리법석을 떠는데 전북은 역사적 지리적 생활권이 같은 전주 완주를 통합 못하고 있으니 안타까울 따름이다. 전주의 쇠퇴를 막고 완주를 부강시키려면 통합은 가급적 빨라야 한다. 지금부터는 완주군의회나 민간 사회단체가 주축이 돼서 나서야 한다. 완주도 빼앗기고 잃는다는 생각보다는 전북 전체를 살린다는 큰 그림을 그려서 나가야만 통합이 이뤄질 수 있다. /백성일 부사장 주필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