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4 23:22 (Tue)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오피니언 chevron_right 새벽메아리
일반기사

K리그 5연패 신기원 이룬 전북현대 창단 첫승의 추억

정강선 전북도체육회장
정강선 전북도체육회장

햇병아리 기자 시절이 있었다. 지난 1994년 6월 도내 모 일간지 공채로 입사를 했다. 첫 출입처는 전라북도체육회와 전북 버팔로 프로축구단 그리고 쌍방울 레이더스 프로 야구단이었다. 그중 전북 버팔로 출입처에 개인적으로 애착이 갔다. 이들은 ‘공포의 외인구단’ 수준이었다. 구단에 예산이 없어 모텔을 전전하며 숙소를 옮겨 다니며 기거했고 선수들의 임금도 체불되기 일쑤였다. 출입기자들이 십시일반 돈을 모아 원정경기 경비를 보탤 정도였다. 성적은 거의 꼴찌 수준으로 영 신통치 않았으나 선두권 구단을 한번씩 잡아낼 정도로 도깨비팀으로 유명했다.

버팔로 프로팀은 94년 시즌을 끝으로 K리그 역사 속에 사라진다. 이어 2002년 월드컵 유치와 붐 조성을 목표로 현대가(家)에서 전북을 연고로 팀을 만든다. 94년 12월쯤으로 기억하는데 창단식 장소가 전주 코아호텔이었던 것 같다. 유명한 전국구 축구인과 연예인들이 북새통을 이룬 화려한 창단식에 참석했다. 올 시즌 우승까지 5연패 신기원 달성에 성공한 전북현대 프로축구단의 역사는 이렇게 시작한다.

총 9시즌 우승 등 K리그 새 역사를 새로 쓰고 있는 전북현대 모터스의 창단 첫 번째 이름은 ‘전북현대 다이노스’였다. 전북 버팔로 주축 멤버 대여섯명이 이 대열에 겨우 합류했다. 첫 사령탑에 오른 우리 고장 출신 차경복 감독의 혹독한 동계훈련을 받은 전북 현대는 이듬해인 95년 시즌에 데뷔를 하게 된다. 프로 첫 데뷔전 상대는 공교롭게도 같은 창단팀인 전남 드레곤즈였다. 그것도 힘든 원정경기로 치러졌다. 당시 함께 출입했던 도내 일간지 타사 선배들은 일제히 전남 광양까지는 죽어도 못가겠다는 반응이었다. 당시 도로 사정 때문에 왕복 거리가 8시간이 넘었던 시절이다. 의미 있는 경기라 도내 일간지에서는 혼자 원정 취재를 강행했고 사진기자 대표로는 성실하기로 유명한 당시 전북일보 허성철 선배가 동행했다.

그 역사적인 경기에서 전북현대는 전남을 상대로 3대0, 쾌승을 이끈다. 신인 대어 김도훈이 2골을 넣고 원맨쇼를 한다. ‘호남 남북 축구 전쟁에서 승리’라는 내용의 기사를 작성한 기억이 또렷하다. 원정 현장에서 경기를 보고 혼자 특종한 것처럼 흥분된 기분을 지금도 잊지 못한다. 넉넉하지 못했던 지방지 기자 신분에 노트북이 귀했던 시절이라 경기장에서 A4 용지에 수기로 써서 회사에 팩스로 송고하고 정신없이 운전해 전주로 복귀했던 때가 엊그제 같은데 벌써 27년이 넘었다.

전북현대는 이후 창단 후 그리 호성적을 내지 못했다. 여러 사령탑이 바뀌고 팀 전술과 전략 등 큰 변화가 없었다. 한동안 중하위권을 달렸다. 2002년 한일 월드컵 영웅 수비수 최진철이 센터포드 포지션을 맡아 주득점원일 정도였다. 2002년 전북현대에 두 번째로 출입했을 때 브라질 용병 마그노, 에드밀손에 너무 의존하는 뻔한 공격 루트를 지적하는 기사를 내보내서 당시 홍보팀장이던 현 백승권 단장과 잠시 어색했던 과거도 이젠 아련한 추억이 됐다. 지금은 백승권 단장께서 우리 전북체육회 이사를 맡아 주는 등 전북체육을 전폭 지지해 주고 있다.

현재는 전북현대 프로 축구단이 전무후무한 K리그 5연패를 달성하고 아시아 최고 명문 구단으로 우뚝 섰다. 아마와 프로를 통틀어 유일하게 전북도민과 도내 체육인들의 자존심을 세워주는 사랑받는 최고 구단이 됐다. 관중 동원 능력도 톱 수준이다. 전북현대가 유럽 최고의 팀 첼시나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같은 프리미어리그 명문 구단을 뛰어 넘는 세계적인 프로 구단으로 거듭나길 진심으로 바라는 마음이다. /정강선 전북도체육회장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오피니언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