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주요 정당 후보들의 공약 경쟁이 열기를 더하고 있다. 후보들은 각 지역 현안을 위주로 주민들의 표심을 얻을 수 있는 공약을 선점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지자체와 지역정치권의 입장에서 보면 대선정국이야말로 현안 사업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는 좋은 기회인 셈이다.
대선 공약화가 요구되는 전북지역 주요 현안으로는 새만금국제공항·광역교통망 등 SOC 확충·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재가동·제3금융중심지·지역특화 일자리 등이 꼽히고 있다. 하지만 이같은 전북 현안은 아직껏 여야 후보들의 대선 공약으로 명확하게 채택되지 않고 있다. 애매한 메시지만 이어질뿐이다. 과거의 사례로 볼 때 대선 후보들이 명확하게 공약으로 제시한다해도 임기 내 완벽한 이행을 보장받기 어렵다는 점에서 애매한 선심성 발언은 사실상 대선 공약에 담지 않았다고 보는 것이 정확할 수 있다.
이러다보니 대선정국에서 다시 ‘전북 소외론’이 고개를 들고 있다. 중앙정치권이 금융중심지, 조선·자동차산업, 국제공항, 항만 등 주요 현안에서 전북과 상당 부분 겹치는 부산·울산·경남지역에 힘을 실어주면서 차별을 받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인구 차이와 정치적 역학관계 등을 따질 때 일리 있는 얘기다.
전북지역 정치권과 지자체의 더욱 적극적인 노력이 요구되는 부분이다. 전북도와 지역정치권이 현안사업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면서 주요 정당의 대선 공약에 반영시키기 위한 치밀한 전략을 세워 실행해야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전북도와 지역 국회의원들이 한자리에 모여 머리를 맞대야 한다. 전북도는 지난해 10월 22일 전북지역과 연고가 있는 국회의원들을 초청해 예산·정책협의회를 열었다. 새해 정부 예산안에 대한 국회 심사를 앞두고 지역 핵심사업에 대한 국가예산 반영을 건의하고, 현안사업에 대한 지원을 요청하기 위해 매년 같은 시기에 공들여 개최하는 행사다. 지역현안이 대선 공약에 포함돼 차기 정권에서 공약사업으로 추진된다면 국가예산도 훨씬 수월하게 확보할 수 있다. 지금 전북도와 지역 정치권이 현안사업 대선 공약화를 위해 머리를 맞대야 하는 이유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