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외부기고

나도 국가대표다!

image
유인탁 진천 국가대표선수촌장

힙합댄스의 비트에 맞추어 춤을 추는 브레이킹은 올림픽 정식 종목의 명칭이다. 브레이킹은 올해 9월 항저우 아시안게임과 2024년 파리에서 개최하는 하계올림픽대회에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됐다.

 

선수촌엔 브레이킹이라는 다소 생소한 종목이 온몸이 부서저라 한팔로 몸을 지탱하며 돌고 또 돌고 바닥을 구르고 또 구르면서 굵디굵은 땀방울을 흩뿌리면서 항저우아시안게임과 2024 파리올림픽에 대비 하고 브레이킹 종목의 새로운 미래를 개척하는 프론티어로서 당당하게 가슴에 태극기를 달고 “나도 국가대표다” 라고 큰소리로 외치며 맹훈련 중이다.

 

얼마전 브레이킹 선수들의 입촌 훈련 여부를 두고 국가대표 선수로서 입촌이 맞다라는 의견과 시키면 안된다는 갑론을박이 있었다 

 

찬성 의견은 국가대표니까 입촌 훈련을 시켜야 한다는 원론적인 입장과 반대의견은 첫째. 선수들이 자유분방해서 특수 통제 상황인 국가대표 선수촌의 훈련 매뉴얼 대로 따라올 수 있을까였다. 또한 바닥을 청소하듯 끌고 다니는 헐렁한 복장에 특유의 이상한(?) 모자에 염색 머리에 기존 국가대표 선수들과의 생각과 외형부터 달라서 이질감 때문에 반대 의견도 있었다.

 

둘째. 운동 할 수 있는 연습장이 선수촌엔 없었다. 사방으로 대형거울이 있어야 되고 질 좋은 음향시설과 지도자와 선수 휴식 공간과 큰 동작으로 움직여야 하니 공간 확보가 필요했고 남녀 탈의실 등등 연습장을 새로 지어야 하기에 부정의견이 있었다.

힘든 결정이었지만 신속하고 과감하게(?) 입촌훈련으로 결정했다.

 

입촌 훈련을 망설이게 했던 종목이 주위에 또 하나 있었다. 골프 국가대표를 입촌시켜야 하는가 하는 문제였다. 선수촌엔 골프 연습장이 없다. 지난 겨울 영하 10℃를 오르내리는 추위에 연습장도 없고 공간도 없고 오직 체력 훈련만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 망설였지만 입촌을 승인했다.

 

결과는 대 만족이다. 골프 선수들이 그 추운 새벽에 운동장에 나와 뛰는 모습을 보니 참으로 고마웠다. 그런데 어느 선수는 태어나서 처음 뛰는 것처럼 뛰는 폼이 너무도 엉성하다. 훈련 3~4일 지나니 근육이 올라와 

절룩거리며 뛰는 선수도 나온다 그러나 얼마나 대견스러운가?

 

연습장이 없어 양궁(컴파운드) 연습장을 빌려서 훈련하며, 감독 왈 그 넓은 연습장에 볼을 치고 친볼 하나하나 선수가 직접 흩어진 볼을 주어야 하기 때문에 볼 하나에 정성을 들여서 한곳으로 쳐야하니까 집중력과 혼이 들어간 연습이 돼서 훈련 효과가 크다라는 이야기를 들었을 때 입촌 훈련 결정이 옳았다는 생각이 들었었다.

 

그래서 브레이킹 선수의 입촌 훈련을 신속하게 결정하게 됐다. 필자가 특별히 마음이 가는 부분이 브레이킹 조성국감독과 전지예선수가 전북 출신 선수인 것이다. 편애하면 안되지만 그러나 마음이 간다.

또한 골프에도 안해천선수가 전북 출신 선수인것이다.

안해천선수는 중학생으로 (당시) 골프에 적합한 몸을 갖고 있어 깜짝 놀랐다.

 

브레이킹 조성국감독, 전지예선수, 골프 안해천선수는 소중한 우리 본도의 자랑이다 . 

항저우아시안게임과 2024 파리올림픽에서 이 선수들이 태극기를 

휘날리며 우리 국민과 전북도민 여러분에게 기쁨과 즐거움을 드렸으면 얼마나 행복할까 그날이 기대된다.

 

전북체육 파이팅!

대한민국 체육 화이팅!

/유인탁 진천 국가대표선수촌장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李대통령, 국회 초당적 협력 요청... “단결과 연대에 나라 운명 달려”

국회·정당인공태양(핵융합)이 뭐길래..." 에너지 패권의 핵심”

국회·정당“제2중앙경찰학교 부지 남원으로”

정치일반전북도청은 국·과장부터 AI로 일한다…‘생성형 행정혁신’ 첫 발

정치일반전북 ‘차세대 동물의약품 특구’ 후보 선정…동물헬스케어 산업 가속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