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의 봄은 느낄 겨를도 없이 우리의 곁을 쏜살같이 빠르게 지나가버렸다. 특히 아름다운 5월은 선거 유세차량의 확성기소리와 현수막에 가리어서 그렇게 지나갔다. 출마한 후보들은 공약(公約)인지 공약(空約)인지 구분하기 어려운 사자후(獅子吼)를 토해내면서 봄을 앗아갔다. 그런데 자치단체장이든 지방의원이든 선거에 출마한 후보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모두가 신분에 관계없이 차별 없고 평등하게 그리고 평화롭게 잘살 수 있는 지역을 만들겠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생각해 보면 동서양을 막론하고 인류는 어느 시대든지 이유 없는 억압으로부터 자유를 얻고자 하는 갈망을 가지고 살아왔다. 다만 그 양상은 시대에 따라 달라서 정치적인 억압, 경제적인 억압 등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나고 있을 뿐이다. 이런 생각과 연관 지어 문득 며칠 후, 6월2일부터 5일까지 서울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에서 국내 최초로 막을 올리는 주세페 베르디의 대작 오페라 ‘시칠리아 섬의 저녁기도’가 떠올랐다. 국립오페라단 창단 60주년 기념 공연으로 열린다.
이 오페라는 베르디가 1855년 파리 만국박람회를 기념해 만든 작품으로 1282년 부활절에 일어난 만종사건을 다룬 작품이다.
당시 지금의 이탈리아 남서부인 시칠리아는 프랑스 양주 가문의 혹독한 지배를 받고 있었다. 당시 프랑스인들은 시칠리아 인들을 난폭하게 억압하였고, 프랑스의 억압으로부터 자유를 갈망해오던 시칠리아 인들이 부활절 저녁기도를 알리는 종소리를 신호로 독립을 외치며 투쟁한 작품이다.
이탈리아 출신 연출가 파비오 체레사(41)는 “인간은 정치적 견해나 인종, 직업, 경제력 등 여러 요인에 따라 우위에 서기도하고 열위에 위치하기도 합니다. 오페라의 주 이야기인 두 민족 간의 전쟁은 인간이 우열을 나누면서 벌어진 편견과 배제. 차별의 결과로 나타난 사회적 투쟁에 가깝습니다. 관객 여러분은 작품 속 식민 지배자와 피지배자 간 대립에 스스로 투영해 볼 기회를 얻을 겁니다” 라고 말하고 있다.
현재 우리사회에 만연하는 편견과 차별, 배제의 문제는 심각하다.
대표적인 예로 문화예술계만 살펴보더라도 문화예술계의 블랙리스트는 사회에 많은 충격과 상처를 남겼다.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훌륭한 예술가들이 본인의 의지와 상관없이 힘 있는 자들에 의해 배제되어 수년간 작품 활동을 못하고 고통의 시간을 보내야 했으며, 이를 견디지 못해 결국 문화예술계를 떠나가는 사태까지 발생했다.
대선이 끝나고 새로운 정부가 들어선 지금 지방선거가 한창이다.
선택은 자유다! 그러나 한 가지 분명한 것은 편견이나 차별을 하지 않을 사람, 즉 인품과 능력이 뛰어난 후보를 선출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또 하나, 지방분권과 관련이 큰 국정과제는 국정목표 6(대한민국 어디서나 살기 좋은 지방 시대)이라고 할 수 있어 필자는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해서는 여. 야를 떠나 특정지역에 대한 그 어떤 편견이나 차별, 배제가 있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지방 분권은 헌법에서 규정한 지방자치의 이념, 균형 있는 국민경제의 성장, 국토와 자원의 균형 있는 개발과 이용, 지역 간의 균형 있는 발전을 위한 지역경제 육성을 위해 보장해야 할 필요불가결한 가치이기 때문이다,
이번에 새로 뽑히는 단체장들이나 지방의원들도 편견과 차별 없는 아름다운 세상을 만들어나가길 바란다. 기대해 본다.
/심가희 아트네트웍스 대표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