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이 많이 내린다는 대설(7일)도 지나고 일년 중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동지(22일)가 성큼 다가온다. 그만큼 겨울이 깊어지고 있다는 것인데 어떤 사람에겐 낭만으로 다가오는 겨울이 누군가에게는 매서운 한파와 고초를 의미한다는 점에서 내 이웃을 한 번쯤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
때마침 전북일보사와 '따뜻한 전주사랑의 연탄나눔운동(대표 최인규)'이 공동주최하는 연탄나눔운동이 올해로 15번째를 맞았다. 전주시에 거주하는 저소득층 가정 등 겨울철 난방비가 부족해 어려움을 겪는 시민을 위해 연탄나눔 네트워크를 구성, 후원조직을 연계하는 사업 등을 펼치는 게 주요 프로그램이다. 요즘 같은 시절에 누가 연탄을 때느냐고 묻는 사람이 있을 수 있으나 우리 사회 곳곳에는 연탄 한 개로 추위를 이겨내야 하는 에너지 취약계층들이 엄연히 존재한다. 단 한 장의 연탄이 그 누군가에게는 너무나 소중하고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따뜻한 한반도사랑의 연탄나눔운동본부 전주지부와 전북일보가 에너지 취약계층을 위한 연탄나눔운동을 공동으로 펼치는 것도 바로 그 때문이다. 전북노동복지센터 등 도내 6개의 단체가 지난 6일 전주시 노송동 4가구에 연탄을 후원했다. 작은 것이지만 누구보다 따뜻한 도움이 필요한 이들에게 전달된 연탄은 훈훈한 온기를 그대로 전하는 듯하다. 자원봉사에 나선 이들의 얼굴은 누구보다 밝아 보였고, 후원을 받은 이들은 연방 고마움을 표시하곤 했다. 난방을 위해 연탄을 쓰는 이들 중 상당수는 홀로 사는 노인이거나 어려운 처지에 있는 경우가 많다. 이들을 돕는 것은 특별한 이들만의 의무가 아니다.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 모두의 참여와 봉사하는 마음가짐이 있어야만 한다. 한 사람의 백보보다는 백 사람의 한보가 훨씬 가치 있고 사회적 울림이 크다고 한다. 십시일반이라는 말이 있듯이 열 사람이 따뜻한 밥 한 숟가락 씩만 도움을 줘도 어느 누군가에게는 한 끼를 때울 수 있는 소중한 밥 한 그릇이 될 수가 있다. 연말을 맞아 각종 모임 등에서 송년회가 계속 이어질 예정인데 어떤 단체에서는 송년회 대신 이웃과 정을 나눌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하고 있다. 우리 이웃들이 따뜻한 겨울을 보낼 수 있도록 작은 도움이라도 주는 사회. 이것은 시민과 지역사회가 솔선수범해서 만들어 가야만 한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