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령인구 감소로 전북지역 내 초등학생 수가 해마다 급감하고 있다. 그렇지 않아도 줄어드는 인구에 해마다 5600명의 초등학생이 감소한다니 발등에 떨어진 불이 아닐 수 없다. 전북만의 문제가 아니라지만 자치단체와 교육청, 도민들 모두가 심각하게 인식해야 할 엄정한 과제다.
한국교육개발원이 발표한 '2023~2029년 초·중·고 학생 수 추계 결과'에 따르면 전북지역 초등학생 수는 2023년 8만6771명에서 2029년 5만3043명으로 3만3728명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려 38.87%가 감소한다. 이는 경남, 울산, 서울에 이어 전국 4번째로 높다. 교원 수급 및 학교 존폐와 직결되는 초등학생 1학년 수의 감소도 마찬가지다. 2023년 1만2011명에서 2029년에 7669명으로 36%가 줄어든다 . 도내 422개 초등학교 가운데 올해 신입생이 10명 미만인 학교는 215개교로 절반이 넘고 신입생이 '0'명인 초등학교도 4곳이나 된다.
이 같은 학생 수 감소는 지역의 활력을 약화시키고 종국에는 지역소멸로 이어진다. 하지만 문제는 이를 반등시키기 위한 대책이 '백약이 무효'라는 점이다. 2006년부터 시작된 저출산 고령화에 쏟아부은 돈만 220조에 이른다. 그러나 출생아 수는 계속 줄어들었다. 1970년 100만명이 넘던 출생아 수는 2022년 25만명대로 떨어졌다 합계출산율 역시 4.53명에서 0.79명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중 꼴찌다. 이대로 가다간 지방소멸은 물론 국가소멸도 걱정해야할 판이다.
지역 차원에서 학령인구 감소를 막을 방법은 마땅치 않다. 그래도 생각해볼 수 있는 것은 역외유출을 막고 교육의 질을 높이는 방안이다. 학령인구의 역외유출을 막기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지역에 좋은 일자리가 많아야 한다. 그래야 부모가 수도권 등으로 이사가지 않고 자녀를 교육시킬 수 있다. 교육의 질을 높이는 방법은 좋은 교사나, 많은 재정 투입, 학급당 학생 수 감축 등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또 도시나 농어촌학교에 따라 '작은 학교 공동학군제', 유치원과 초중등학교의 통합, 모듈러 교실 설치 등 여러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이제 학령아동 급감은 먼 장래의 일이거나 남의 일이 아니다. 당장 머리를 맞대고 특단의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