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오피니언

노인을 위한 나라

image
일러스트/정윤성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라는 미국 영화가 화제가 된 적이 있다. 미국 현대문학을 대표하는 소설가 코맥 매카시의 2005년작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로 2008년 우리나라에서도 개봉돼 인기를 끌었다. 굉장히 직설적으로 표현한 제목만 보면 노인문제를 다룬 사회성 짙은 작품으로 판단할 수 있겠지만 전혀 그렇지 않다. 엽기적인 살인마가 등장하는 범죄 스릴러물이다. 제목은 아일랜드 시인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의 시, ‘비잔티움으로의 항해(Sailing to Byzantium)’의 첫 구절 ‘그건 노인을 위한 나라가 아니다(That is no country for old men)에서 따왔다고 한다. 이 구절에서 ‘노인’은 ‘오래된 지혜를 가진 지성인’을 의미한다. 만약 노인의 오랜 경험과 지혜대로 사회현상이 예측 가능하게 흘러간다면 그 사회에서 노인들은 대접받을 것이다. 그러나 현실은 지혜로운 노인이 예측한대로가 아닌 도저히 예측할 수도, 이해할 수도 없는 방향으로 흐른다는 것이다. 

즉 소설과 영화의 제목은 ‘우리 사회 지성과 경험을 갖춘 노인이 예측하는대로 흘러가는 사회(나라)는 없다’로 해석된다. 어쨌든 예측할 수 없는 혼돈의 현대사회에 가장 적응하기 어려운 계층은 노인일 수밖에 없다. 미래를 예측하기 어려운 불확실성의 시대, 결국 노인이 편안하게 기대어 살 수 있는 나라는 없다고 해도 무방할 것이다.

65세 이상 노인 인구의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해 2022년 말 우리 나라 전체 인구의 18%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7년 고령사회에 진입한 이후 이제 초고령사회를 눈앞에 둔 것이다. 행정안전부가 지난 15일 발표한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2022년 말 기준 전북지역의 노인인구 비중은 23.2%로 이미 초고령사회에 해당한다.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7% 이상인 경우 고령화사회, 14% 이상은 고령사회, 20% 이상은 초고령사회로 구분된다.

저출산 고령화시대, 이미 한참이나 늙어버린 사회를 뒤로 돌리는 일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거스를 수 없는 초고령사회, 정부와 지자체가 나서 고령친화도시 정책을 펼쳐할 때다. ‘고령친화도시’는 노인이 건강하고 활력있는 사회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정책과 사회 인프라, 서비스 등이 조성된 도시를 말한다. 세계보건기구(WHO)가 주도해 ‘WHO 국제 고령친화도시 네트워크’를 구축하기도 했다. 세계적인 고령화·도시화 추세에 더욱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2006년부터 추진한 범세계적 프로젝트다. 국내에서도 2013년 서울시를 시작으로 부산, 수원, 세종, 정읍시 등 각 지자체가 속속 가입해 노인복지정책을 역점 추진하고 있다. 노인인구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전북지역 지자체에서도 어르신들이 지역에서 활기차고 편안한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지역 특성에 맞는 고령친화도시 정책을 역점 추진해야 할 때다.

/김종표 논설위원

김종표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李대통령, 국회 초당적 협력 요청... “단결과 연대에 나라 운명 달려”

국회·정당“‘핵융합(인공태양) 발전’ 에너지 패권의 핵심”

국회·정당“제2중앙경찰학교 부지 남원으로”

정치일반전북도청은 국·과장부터 AI로 일한다…‘생성형 행정혁신’ 첫 발

정치일반전북 ‘차세대 동물의약품 규제자유특구’ 후보 선정…동물헬스케어 산업 가속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