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전 끝난 카타르 월드컵의 경우에서 알 수 있듯 굵직한 국제행사는 국가의 위신을 하루아침에 좌우할만큼 큰 의미를 가지고 있다. 변방에 머물던 대한민국이 당당하게 200여개 전세계 국가중 열손가락에 꼽힐만큼 도약한 계기를 꼽는다면 서울올림픽과 2002 월드컵 유치를 빼놓을 수 없다. 지방정부도 마찬가지여서 전북도가 크게 도약한 계기도 따지고 보면 전국체전이나 동계유니버시아드 대회를 비롯한 국제행사도 크게 한몫 했음은 물론이다. 코로나 등으로 인해 우여곡절끝에 올해 전북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 마스터스 대회나 새만금 세계스카우트 잼버리 대회도 마찬가지다.
‘2023 전북 아시아·태평양 마스터스 대회’는 오는 5월 12부터 20일까지, ‘제25회 스카우트 잼버리’는 8월 1일부터 12일까지 부안군 새만금지구에서 열린다. 문제는 전북도가 올인하다시피 했던 2개 대회가 모두 소기의 성과를 거두기는 어려울 거라는 점인데 우선 당장 눈앞에 다가온 아태마스터스대회가 문제다. 막대한 혈세가 투입되는 대형 국제행사이나 참가자 수가 너무 빈약한 때문이다. 특히 해외 참가자수가 너무 적어 도대체 지금까지 아태조직위는 무엇을 했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 명색이 생활 체육인의 올림픽으로 일컬어지는 아태 마스터스 대회는 총 26개 종목에 걸쳐 2만여명의 선수들이 참가할 것으로 예상했으나 2000여 명에 불과한 실정이니 참 기가막힐 노릇이다. 잔뜩 기대를 모았던 중국 참가자 모집도 '비자 제한 조치' 등의 영향으로 대회에 악영향이 불가피하다. 대회 개막까지 채 4개월도 남지 않아 뽀족한 수도 없다. 사무총장을 비롯해 3개 본부, 8개 부에 43명이 수년째 근무하면서 지금까지 무슨 일을 했는지 궁금할 뿐이다. 수긍할만한 이유가 없는것도 아니지만 '동네잔치'를 넘어 '애물단지'로 전락하는게 아니냐는 지적을 정면으로 반박하기도 힘든 상황이다. ”아태마스터스대회 예산은 지방비 116억원을 포함해 모두 165억원으로 3년 전 대회 유치 때와 비교해 지방비는 3배 이상, 전체 예산은 2배 넘게 증가했다고 한다. 지난 시간과 과정을 곱씹어 지적해봐야 별무신통이지만 지금부터라도 조직위가 중심이 돼서 발로 뛰어야 한다. 막대한 세금을 쓴 것에 대해 가시적 성과로 답해야 한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