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4 22:23 (Tue)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오피니언 chevron_right 타향에서
외부기고

다행과 은혜

image
류영하  (시인, 전 국토해양부 고위공무원)

유난히 슬퍼 보이는 경로석의 어르신 모습에 가슴이 아프다. 갑작스런 교통사고로 응급실에서 신음하고 있는 환자 옆에서 엄마가 펑펑 울고있다. 지금까지 함께 지내온 고향절친이 갑자기 급성 암 진단을 받고 짧게 투병하다가 하늘나라로 갔다. 살다보면 기쁜 일보다 가슴아픈 일들이 더 많은 것 같다. 우리들 주변에는 겉으로는 편안해 보이지만 알고보면, 크고 작을 따름이지 걱정거리 없는 사람도 없다. 모든 어려움과 고통, 힘든 일들을 참고 이겨내야만 하는 것이 인생이다.

어릴적 부모님 밑에서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지낼 때는 잘 몰랐지만, 지금까지 살아온 길을 뒤돌아 보니 참으로 위험하고 아찔했던 일들도 많았다. 누군가의 도움과 은혜를 받았음이 분명하다. 지금 이 만큼이 무척 다행이고 은혜라는 생각이 많이 든다. 은혜는 ‘사랑으로 베풀어 주는 신세나 혜택, 인류에 대한 신의 사랑’이고, 은혜하다는 ‘마음에 두어 애틋하게 생각하다’, 은혜롭다는 ‘매우 고마운 데가 있다’는 사전적 의미가 있다. 은혜를 받았으면 갚아야 하고, 매우 고맙고 애틋한 마음을 잊어서는 안되는 것이 은혜이고, 은혜하면서 은혜롭게 살아가야 한다는 의미라고 덧붙여 해석해 본다. 생각할수록 다행과 은혜는 늘 함께하면서 지금의 나를 존재하게 해 주었다. 부모님과 형제자매, 친구와 직장동료, 그동안 좋은인연들로 부터도 많은 은혜를 입고 살아 온 것이 틀림없다. 가족과 떨어져서 지낼 때 홀로에 익숙해 지기 위해서 사색과 명상을 자주하게 되었고, 다행과 은혜의 연속선상에서 갑작스런 죽음에 대비해야 함을 깨닫게 되었다.

내가 3일 밖에 살 수 없다고 가정하고, 유언장과 묘비명, 꼭 해야할 일과 하고싶은 일, 은혜를 갚아 나가면서 의미있게 잘 살아가는 목표들을 정리해 보았다. 매일 단전호흡을 하면서 죽었다가 다시 살아나서, 더 잘 살아가는 연습, 즉 '죽는연습'을 시작했다. 먼저 지금 이러한 생각을 하게 된 자체가 다행이고 은혜임을 알게 되었다. 저절로 부족한 나를 찾게 되었고 조금 더 삶의 여유와 모든 사람을 존중하면서 살아가야 겠다는 다짐도 하게 되었다. 삶의 가장 소중한 자산은 ‘사랑과 시간’이라고 했다. 시간을 아껴쓰면서 사랑을 실천해야 한다. 무엇보다도 우선 가장 가까운 가족에게 미안함을 줄여 나가는 것이 사랑의 실천중에서 첫 번째라고 생각한다. 정리해 놓은 대로 은혜를 다 갚으면서 살아갈 수는 없지만 지금 가까이에서 만나고 있는 사람한테 잘 하면 된다고 본다. 기회가 되면 미루지 말고 실천하면 된다.

“사람은 누구나 유토피아를 추구하면서 시작하지만 결국 마지막으로 남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무유호이 (無有乎爾)”라고 맹자는 고백했다. 인생은 물거품이고, 헛되고 헛되도다라고 탄식하지만 그래도 마지막 남는 것은 나눔과 봉사라고 했다. 어려운 이웃을 위하여 주는 것도 내 것이고 따뜻한 마음은 영원한 것이다. 평생 젓갈을 팔아서 모은 돈을 장학금으로 쾌척하신 수산시장 할머니, 전주시 노송동의 이름없는 기부천사, 이태석 신부님, 지금도 땀 흘리고 있는 수많은 자원봉사자들은 훌륭한 삶의 흔적을 남기고 있다. 우리들 모두가 받은 은혜다. 텅텅빈 은혜만 있다. 이 만큼에 다행임을 깨닫고 만족하고 감사하고, 은혜하면서 은혜롭고 아름다운 세상으로 채워 나갔으면 한다.

/류영하  (시인, 전 국토해양부 고위공무원)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류영하 #타향에서 #다행과 은혜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오피니언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