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은 예로부터 전통예술의 대표적 생산지이자 공급지로 전승과 유통이 활발한 지역이다. 근대 시기 권번이 해체된 후에도 지역 유지들이 전주국악원을 설립하여 전통예술의 전승 활동을 지속해 왔고, 1960~70년대 라디오, TV 등 대중매체가 문화 전반을 잠식하였을 때도 문화 예술적 토대를 갖추고 있었다. 전북의 이러한 문화예술적 기반은 전통 예인을 대거 배출하는 자양분이 되었고 나아가 전북특별자치도립국악원(이하 도립국악원) 설립의 원동력이 되었다.
올해로 개원 38주년을 맞은 도립국악원은 행정 관료의 운영에서 벗어나 국악전문가 수장 체제로 거듭나면서 국악계는 물론 도민들의 관심과 기대가 집중되고 있다. 또한 국악원 본원의 증개축으로 신청사 입주를 앞두고 있어 국악 연수, 국악 공연의 상설화 등 앞으로 국악의 전승과 생산 공간으로서도 이목을 받고 있다.
도립국악원 교육학예실은 8만6000여 명의 연수생 양성, 학술행사, 전통예인 구술 채록, 민속예술발굴총서 출간 등 국악교육과 연구로 국악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제고하며 국악의 저변확대에 기여해 왔다. 나아가 예술단은 지속적인 정기연주회(창극단(57회), 관현악단(50회), 무용단(32회))와 기획·상설연주를 통해 새로운 가능성을 실험하며 대표 예술단으로서의 입지를 다져왔다. 이에 어느 지역에서도 찾아보기 어려운 악가무 일체를 갖춘 제작환경을 구축하며 수준 높은 공연작품을 생산 유통하고 있어 국내외적으로 공연예술단체로서의 명성을 떨치고 있다. 전북도립국악원의 이러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1980~90년대 부흥기를 맞이했던 국악계는 현재 학령인구 감소와 산업구조의 변화에 따른 영향으로 지방 대학의 국악과는 폐과와 통폐합을 거듭하고 있다. 작금의 시대는 초고령사회로 진입하고 있고 한쪽에서는 포노사피엔스(Phono Sapiens, 스마트폰을 신체의 일부처럼 쓰는 사람들) 시대를 지나 생성형 AI가 산업생태계를 지배하는 AI사피엔스시대(AI를 신체의 일부처럼 쓰는 사람들)에 진입하고 있다. 이처럼 국악 교육을 통한 전문 인재 양성이 축소되고 가파르게 사회 구성원과 그들이 사용하는 생활 도구가 급변하고 있는 시기이다. 문화예술을 교육, 생산, 유통하고 있는 도립국악원도 문명의 교체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신산업 구조의 패러다임 속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을 것이다.
전통을 고수하며 원천소스의 가치를 추구해야 할 것인지, 멀티유즈(multi use)의 방향을 모색해야 할 것인지, 동시대인들의 요구와 동시대의 문화 생산은 어떠한 점에 방점을 두어야 할 것인지 심도 있게 고민해야 하는 시기이다.
최근 창극 <춘향>을 무대에 올려 관객들에게 많은 관심과 성원을 받았다. 이 작품을 통해 앞으로 도립국악원의 행보를 짐작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수준 높은 전통 소리를 바탕으로 세련된 시청각적 요소를 구현하며 낯익음과 익숙함을 조화롭게 구성하여 동시대인과 소통하고자 하는 의도를 읽을 수 있다.
지금까지는 국악의 대중화와 저변확대에 가치를 두었다면 도립국악원은 이제부터는 전북의 문화 환경을 어떠한 양상으로 조성해 나갈지에 대한 촘촘한 밑그림이 요구된다. 또한 전북문화의 세대 계승과 느리지만 거시적인 관점에서 또 다른 가치를 생산하는 이 시대의 문화 아이콘으로서의 역할과 기능 수행이 절실하다. 나아가 전북만의 특별한 문화생태계를 구축하는데 있어서 구심점이 되길 기대해 본다.
/노복순 전북특별자치도립국악원 교육학예실장
△노복순 실장은 한국음악을 중심으로 공연문화에 관심을 가지고 세상의 현상을 바라보고 있는 국악평론가이자 연구자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