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리로 가는 동맥이 폐쇄되거나 허리의 신경이 압박을 받아 다리를 절게 되는 상태를 우리는 의학적 의미의 파행이라고합니다. 다시말해 의학적 의미의 파행에는 혈관인성(血管因性) 파행과 신경인성(神經因性) 파행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 두 가지는 겉으로 보기에는 비슷한 증상을 보일 수 있지만, 발생 원인과 치료 방법에서 큰 차이가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두 가지 파행의 정의, 증상, 원인, 진단 및 치료 방법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혈관인성 파행은 주로 혈액 순환의 문제에서 비롯됩니다. 이 상태에서는 다리의 동맥이 좁아져서 혈액이 제대로 흐르지 않게 됩니다. 이로 인해 운동 중에 다리의 근육에 산소가 부족해지고, 그 결과 통증이 발생합니다.
혈관인성 파행의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운동 중 통증: 걸을 때나 운동할 때 다리에 통증이 발생하며, 일반적으로 허벅지나 종아리에 느껴집니다. △휴식 시 완화: 통증은 몇 분간의 휴식을 취하면 완화됩니다. △차가운 느낌: 혈류 감소로 인해 허벅지나 종아리를 만지면 차갑게 느껴집니다. △피부 변화: 피부가 창백해지거나 윤기가 없을 수 있습니다.
혈관인성 파행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동맥경화증: 혈관벽이 두꺼워지고 경직되어 혈류가 제한됩니다. △당뇨병: 혈당 조절이 어려워져 혈관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고혈압: 지속적인 고혈압이 혈관에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흡연: 흡연은 혈관을 수축시키고 혈액 순환을 악화시키는 주요 원인입니다.
혈관인성 파행의 진단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집니다: △신체 검사: 의사가 다리의 맥박과 피부 상태를 검사합니다. △혈관 초음파: 혈관의 혈류 상태를 확인합니다. △도플러 초음파 검사: 혈관 내 혈류 속도를 측정합니다.
치료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생활습관 변화: 금연, 건강한 식단, 규칙적인 운동이 중요합니다. △약물 치료: 혈액 순환을 개선하는 약물이 처방될 수 있습니다. △수술 : 심한 경우에는 혈관 우회 수술이나 스텐트 삽입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신경성 파행은 주로 척추에서 발생하는 신경 압박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 상태에서는 허리나 엉덩이에서 시작된 통증이 다리로 방사되며, 자세에 따라 통증의 양상이 달라집니다.
신경성 파행의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다리 방사통: 허리나 엉덩이에서 다리로 방사되는 통증이 특징입니다. △자세에 따른 통증 변화: 서 있을 때 통증이 심해지고, 앉거나 구부릴 때 통증이 완화 됩니다. △감각 이상: 다리의 감각이 둔해지거나 저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신경성 파행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척추관 협착증: 척추관이 좁아져 신경을 압박하는 상태입니다. △디스크 탈출증: 척추 디스크가 탈출하여 신경을 압박할 수 있습니다. △퇴행성 질환: 나이가 들면서 척추와 관절이 퇴화하면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신경성 파행의 진단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MRI 또는 CT 스캔: 척추와 신경의 상태를 확인합니다. △신경 검사: 신경 기능을 평가합니다. 치료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물리치료: 스트레칭과 근육강화 운동이 포함됩니다. △약물 치료: 근이완제 및 통증완화를 위한 통증 조절 약물이 처방될 수 있습니다. △수술: 심한 경우에는 신경압박의 원인을 제거하기 위한 디스크 수술 및 척추관 확장술 등의 수술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이렇듯 혈관성 파행과 신경성 파행은 그 발생 원인이 다름으로 인해 증상, 진단, 치료 방법이 다를 수 밖에 없습니다. 비슷한 증상이지만 다른 질병의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최근 우리사회 또한 정치적으로 심각한 파행을 겪고 있습니다.
성숙한 사회 일수록 각자 자기자신의 주장만을 고집하기 보다는 우리 사회의 정치적 파행이 어디로부터 왔는가하는 원인을 파악하는 일 또한 소중할 것으로 생각되는 아침입니다.
김대용 전주 우리들병원장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