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5 08:28 (Wed)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사람들 chevron_right 줌, 오늘 이 사람
자체기사

[줌] 오창현 아트컴퍼니 두루 대표 “창작자는 창작에만 집중할 수 있어야죠”

지속 가능한 창작 생태계 구축 위한 행보 이어가는 아트컴퍼니 두루

image
오창현 씨

창작자가 창작에만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일. 아트컴퍼니 두루의 오창현(50·전주) 대표는 그 과제야말로 지금 창작 생태계를 지속 가능하게 만드는 핵심이라고 말한다. 지난달 열린 뮤지컬 ‘24’ 작품 포럼은 단순한 신작 소개 자리를 넘어, 이런 문제의식을 관객과 제작자들이 공유하는 실험의 장이 됐다.

오 대표는 2009년부터 뮤지컬 제작 기반을 다져온 창작자다. 전북은 연극 인프라에 비해 뮤지컬 창작 기반이 취약한 구조였다.

대표는 “도내에 뮤지컬 창작 기반을 다듬기 위해 창작자, 배우, 관객까지 함께 준비되어야 하는 등 단순히 공연만으론 어려움이 있었다”며 “ 때문에 처음부터 교육과 아카데미를 병행하는 구조로 설계했다” 고 말했다. 실제 그 설계는 지금의 아트컴퍼니 두루 7인 체제와 공동 리더십 구조로 이어지고 있다.

창작 생태계를 바꾸기 위해 두루가 택한 방식은 ‘단계적 제작 시스템’이다. ‘24’는 단순히 공연을 준비하는 작품이 아니다. 작품 리서치, 트리트먼트 워크숍, 극본 워크숍, 포럼, 강연 세미나, 리딩 워크숍, 프리뷰 공연에 이르기까지 총 7단계의 과정을 밟는다.

대표는 “공연을 올린 뒤 평가받는 방식이 아니라, 만드는 과정에서 함께 점검하고 제안하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특히 포럼은 관객과 전문가의 피드백을 창작자가 직접 받아들이며 작품을 재정비하는 중간 평가의 장이다.

그는 이런 시스템이 창작자의 부담을 줄이기보다는 오히려 늘릴 수도 있다고 말한다. 그럼에도 이 과정을 포기하지 않는 이유는 단 하나다. 좋은 작품은 창작자가 스스로 납득할 수 있을 때 비로소 완성되기 때문이다.

창작 생태계의 지속 가능성을 위협하는 요소에 대한 질문에 오 대표는 “돈이 없다, 사람이 없다 같은 말보다 더 큰 문제는 자신감의 부재”라고 답했다.

그는 “서울이나 대구는 되고, 전북은 안 된다는 인식부터가 문제다”라며 “전북도 충분히 가능한 지역이라 생각한다. 전북의 관광 인프라나 문화 수요를 뮤지컬과 연결시킨다면 분명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두루는 뮤지컬에 최적화된 배우나 창작자가 부족하다는 평가를 의식하며, 자체 교육 프로그램도 병행한다. 직접 서울로 배우러 가기도 하고, 실력 있는 강사를 지역으로 초빙해 전수받기도 한다. 그렇게 하나하나 실현 가능한 구조를 만들어왔다.

아트컴퍼니 두루가 지속적으로 강조하는 철학은 ‘공감 유니버스’다. 단순히 감정을 나누는 공감이 아닌, 사람과 사람, 인간과 생태, 기술과 의식이 함께 조화를 이루는 세상을 지향한다. 작년 공연된 뮤지컬 ‘런어비스’는 그 철학이 관객에게 통했음을 증명했다. 전석 매진이라는 성과보다 더 값졌던 건, 관객들이 “사람과 사람의 관계가 왜 중요한지를 생각하게 됐다”고 말해준 일이었다.

두루는 오는 11월 선보일 뮤지컬 ‘24’ 역시 그런 질문을 던진다. ‘전쟁’이라는 무거운 소재를 다루지만, 결국은 인간의 감정과 관계로 귀결되는 이야기다. 핵미사일 발사 후 24분 안에 벌어지는 상황을 설정한 이 작품은, 냉전과 충돌의 시계를 멈추고 사랑과 용서의 가능성을 묻는다.

오 대표는 “큰 담론처럼 보이지만 결국 삶의 문제다. 우리가 진짜 원하는 건 갈등이 아니라 지속 가능성이라는 걸 말하고 싶었다. ‘24’가 단순한 공연을 넘어서 창작 생태계에서 실천적 모델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아트컴퍼니 #두루 #뮤지컬 #전북 #불모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사람들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