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10 02:42 (Mon)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문화 chevron_right 영화·연극
일반기사

[2009 전주국제영화제] 예르지 스콜리모프스키 회고전 - 17년 외도 마친 거장

지난해 칸에서 <안나와의 나흘 밤> 이 상영되고 크레딧에 '예르지 스콜리모프스키'라는 이름이 흐르자 모두가 흥분했다. 17년 동안 영화를 만들지 않았던 폴란드의 거장 예르지 스콜리모프스키(71). 그가 다시 돌아왔기 때문이다.

 

'2009 전주국제영화제'는 그의 회고전을 마련하고, 그의 영화세계를 담은 책자를 발간했다. 그의 생일이었던 5일에는 생일파티 겸 '예르지 스콜리모프스키의 밤'이 열렸다. 늙은 거장은 "새로운 장소에서 새로운 작품들을 보여줌으로써 새로운 경험을 하는 것, 새로운 사람들에게 반응을 얻는 것은 굉장히 좋은 경험"이라며 즐거워 했다.

 

"17년 동안 나는 미술로서 나 자신을 재정립했습니다. 그림을 그리면서 박물관 전시도 하고 미술가로서도 성공한 삶을 살았습니다. 영화를 할 때에는 타협을 해야 하는 부분도 있고, 많은 사람들에게 의존할 수도 있지만, 그림은 캔버스와 마주한 형태로 창조활동에 긴장이 흐르죠. 결국 영화의 결과물은 모든 사람들과 공유하게 되지만, 미술은 나만의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는 "지난 17년 동안 젊은 아티스트로 태어난 느낌이었다"며 "아티스트로서의 삶이 다시 영화감독으로 전향하고픈 욕구를 끌어낸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

 

그러나 17년 동안 그가 영화와의 관계를 아예 끊은 것은 아니었다. 초기부터 연기와 연출을 같이 해 온 그는 <비포 나잇 폴스> (2000)나 <이스턴 프라미스> (2007) 같은 영화들에 출연했었다.

 

"연기를 통해 연출의도를 더 잘 표현하는 것은 아닙니다. 연기하는 것은 나에게 굉장히 쉬운 일이죠. 그냥 나에게 연기할 수 있는 능력이 있을 뿐입니다."

 

그는 "연출을 하지 않는 동안 기술적으로 좋아지긴 했지만, 적응해야 할 정도로 영화 환경이 변한 것 같지는 않다"고 했다.

 

8일까지 회고전에서 상영되는 10편의 영화 중 가장 최근작으로 '2008 동경영화제 심사위원특별상'을 받은 <안나와의 나흘 밤> 은 현대사회의 비정함과 고립된 인간관계를 돌아보게 만드는 작품. 스콜리모프스키 감독은 "'굉장히 부끄러움을 많이 타는 소극적인 남자가 여자가 너무 좋아서 창문을 올라타고 그 여자를 지켜봤다'는 굉장히 짧은 신문 문장에서 시작된 작품"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 <페르디 두르케> 를 빼고는 회고전에 모아놓은 9편의 작품이 모두 마음에 든다"고 덧붙였다. <페르디 두르케> 는 폴란드의 유명 소설가 비톨트 곰브로비치의 소설을 기반으로 한 것. 그는 영화로 각색하는 것 자체가 잘못된 판단이었다며 문학을 영화로 옮기는 일은 항상 만족하기 힘들다고 했다.

 

"디지털은 아이디어가 떠오르면 생각한대로 언제든지 빠르게 영화를 찍을 수 있는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빛도 많이 필요하지 않죠. 조만간 모든 사람들이 디지털로 작업하게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는 생존을 위해 살인을 하는 심리 드라마 <에센셜 킬링> 을 만들고 있다며, 다수의 권력에 의해 쫓기는 한 개인이 살아남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과정을 통해 도덕적으로 딜레마를 일으킬 수 있는 주제라고 소개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도휘정 desk@jjan.kr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문화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