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상력 자극받는 즐거움
본심에 올라 온 글의 수준이 여느 해보다 높아 글을 읽는 내내 행복했다.
예심에서 올라 온 작품은 <꽃 켜는 아저씨> <윤아와 알록이> <알을 품은 요강> <부거리8282> <손수레 여행> <잊은 거 아니지> , 이렇게 여섯 작품이었다. 잊은> 손수레> 부거리8282> 알을> 윤아와> 꽃>
각기 장단점이 있었다. 이 중에서 어른 투의 문장, 진부한 소재, 아쉬운 결말 처리 등으로 세 작품이 우리 손에서 떠났다.
남은 세 작품을 가지고 얘기를 진행했다. <윤아와 알록이> (홍인재)는 문장 구성이 매끄럽고 탄탄했으나 곤충과 대화를 하는 부분은 좀 느닷없었다. 연결 장치를 만들었더라면 화자의 시점이 무너지는 실수를 하지 않았을 것 같다. <알을 품은 요강> (남주희)은 강점이 많은 작품이었다. 잘 짜인 이야기 구조와 버려진 요강에서 새로운 생명이 태어난다는 결말 처리는 무릎을 치게 만들었다. 약간의 비약과 항아리와 요강을 불분명하게 사용한 부분이 옥에 티였으나 마지막까지 고민하게 만든 작품이었다. 이 작가는 다음을 기약하고 싶다. 알을> 윤아와>
<꽃 켜는 아저씨> (백상웅)를 당선작으로 올린다. 시적, 동화적 상상력이 근래에 보기 드문 작품이었다. 세상의 꽃들은 그냥 피는 것이 아니라 요절한 영혼들이 세상에 내미는 손이라는 상상력에 박수를 보낸다. 아쉬웠던 점은 왜 봉이 아저씨가 꽃 켜는 일을 하게 되었는지 알려주었더라면 어린 독자와의 소통이 더 쉬웠을 것이다. 눈 오는 날에 두 번 세 번 반복해 읽으며 세상의 봄꽃이 한꺼번에 피는 듯한 착각에 빠졌다. 좋은 동화 작가의 탄생을 진심으로 축하한다. 꽃>
/김자연(아동문학가) 김종필(동화작가)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