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회 주최측과 추산 목적 달라 필요성 없고 대안도 마땅찮아"
이성한 경찰청장이 경찰이 추산하는 집회 참가인원이 주최 측 추산보다 지나치게 적다는 지적에 추산 보완 가능성을 시사했지만,일선 경찰관들은 회의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 청장은 지난 13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국가정보원 댓글사건 규탄 촛불집회 참가 인원 추산에서 경찰과 주최 측 사이에 차이가 너무 크다는 논란에 대해 "격차를 줄일 방안을 고민해보겠다"고 밝혔다.
이는 '경찰이 국정원 촛불집회의 파급력을 줄이려고 의도적으로 참가 인원을 축소하는 것 아니냐'는 의혹 제기에 대응하는 차원으로 해석됐다.
그러나 집회·시위 관리 경험이 많은 정보 경찰관들은 지금의 인원 추산 방식을개선할 방법이 딱히 없고 굳이 그럴 필요도 없다는 반응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일선의 한 경찰은 19일 "3.3㎡(1평)당 밀집 인원을 기준으로 전체 인원을 추산하는 지금 방식보다 더 합리적인 방법은 없을 것"이라며 "특정 시점의 인원을 추산하는 데는 경찰의 지금 방식이 가장 적합하다"고 말했다.
경찰과 집회 주최 측의 인원 추산 차이는 산정 방식이 다르기 때문이다.
경찰은 3.3㎡의 공간에 성인 4∼6명이 서 있다고 보고 여기에 전체 면적을 곱해특정 시점의 인원을 계산한다.
앉았을 때는 인원이 다소 줄고, 추우면 서로 붙어 있는 경향이 있어 10명까지도 늘어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한다.
주최 측은 참가 단위들로부터 인원을 취합하고 도중에 빠져나가거나 들어온 인원까지 모두 더해 '연인원' 기준으로 산정한다는 점이 다르다.
또 다른 경찰관은 "집회 현장에 출입구라도 만든다면 경찰도 드나드는 인원을가늠할 수 있겠지만, 다른 시민의 불편도 고려해야 하고 주최 측과 조율도 어렵다"며 "집회는 극장에 들어가는 것과는 달라 현실적인 방법도 아니다"라고 말했다.
경찰은 특정 시점에 몇 명이 모였는지를, 집회 주최 측은 연인원을 참석자 수의기준으로 삼는 방식의 차이는 각자 필요에 따른 것이다.
상황에 따라 즉각 경비인력을 증감 또는 이동해야 하는 경찰로서는 특정 시점에몇 명이 모였는지가 중요할 뿐 연인원은 큰 의미가 없다.
반면 주최 측은 그날 집회에 대한 시민의 관심과 참여도가 어느 정도였는지 전체적으로 파악하는 게 중요해 잠깐이라도 행사에 참가한 인원까지 모두 포함한다.
이런 이유로 주최 측 추산은 대부분 경찰 추산보다 많을 수밖에 없다.
일례로, 지난 17일 국정원 시국회의가 주최한 촛불집회 참가자 수는 주최 측 추산 4만명, 경찰 추산 9천명으로 여전히 큰 차이를 보였다.
이처럼 인원을 산정하는 목적 자체가 다른 만큼 굳이 인원 추산 방식을 바꿀 필요가 없다는 경찰 내부 목소리도 적지 않다.
한 경찰 간부는 "경찰의 집회 인원 추산은 외부 공표가 목적이 아니라 경비인력운용과 관련한 판단의 근거"라며 "기준과 목적이 다른 만큼 언론이 집회 보도에서주최 측과 경찰 추산을 병기하고 국민이 그 차이를 이해해주면 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