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전국 강태공들 '우르르'...새만금, 낚시 명소 부상

방조제 내측 고등어 떼 / 주말 1000명 넘게 발길 / 머무는 관광 효과 기대

▲ 새만금 방조제 내측에서 고등어 낚시를 하고 있는 강태공들.

해수가 유통되는 천혜의 바다호수 새만금이 전국 생활 낚시인들의 ‘핫(Hot=뜨거운) 명소’로 부상하고 있다.

 

새만금 배수갑문을 통해 방조제 내측으로 들어온 고등어떼 소식이 SNS를 통해 알려지면서 전국 각지의 생활 낚시인들이 대거 몰리고 있는 것.

 

이는 새만금이 낚시 명소가 될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사시사철 때에 맞춰 나오는 고등어, 주꾸미, 갑오징어, 도다리 등의 낚시관광 테마로 연계해 ‘머무는 관광’을 이끌어낼 경우 그 파급효과가 상당할 것으로 보인다.

 

생활 낚시인들이 즐겨 찾는 고등어 낚시는 통상 8월 중순부터 9월 말까지 이어지며 고등어 시즌이 끝나면 주꾸미 시즌이 시작된다.

 

고등어 낚시는 방조제 내측에서 이뤄지는데 특별한 기술 없이도 간단한 채비와 미끼만 있으면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잡을 수 있어 그 재미가 상당하다.

 

더욱이 방조제 내측은 여울 및 파도 등이 없어 기상에 큰 영향을 받지 않아 안전하며, 군산에서 부안까지 시원하게 뚫린 33.9㎞ 도로가 있어 교통도 편리하다.

 

실제로 그동안 관광객이 없어 사실상 ‘개점 휴업 부지’로 불린 비응도가 이번 고등어 잡이 인파로 모처럼 활기를 띠고 있다.

 

호텔과 모텔, 식당, 각종 낚시점, 선주들 모두 갑작스럽게 몰려든 새만금 낚시관광 인파에 즐거운 비명을 지르고 있다.

 

새만금방조제 내측의 고등어 낚시 인파는 평일 하루 평균 500~600명에 이르며, 주말에는 1000명이 넘는 낚시객이 비응도 내측 방조제부터 부안 초입 신시도까지 줄을 이어 낚시를 하는 대장관이 펼쳐지고 있다.

 

서울에서 이곳을 찾은 김대수씨(39)는 “낚시 카페를 통해 새만금 고등어 소식을 듣고 주말을 이용해 2박3일 일정으로 이곳을 찾았다”며 “먼저 새만금 전체적인 비경에 반했고 부인과 아이들은 쉽게 고등어를 낚는 손맛에 빠져 다른 곳에 안가고 낚시만 하려 하는 등 다음에 또 이곳을 찾을 계획”이라고 만족해했다.

 

경기도에서 온 김문수씨(52) 역시 “새만금 소식을 듣고 부인에게 통사정해 아이들과 같이 1박2일 일정으로 새만금에 와 낚시를 했다”며 “갈 땐 내가 통사정했지만 올 때는 부인과 아이들이 ‘하루만 더 있다 가면 안 되냐’고 통사정을 하는 바람에 진땀을 흘렸다”고 미소를 지었다.

관련기사 낚시 명소 새만금 안전관리 '어쩌나'
이강모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오피니언[의정단상] 새만금에 뜨는 두 번째 태양

오피니언[타향에서]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조세정책과 우리 기업의 대응

오피니언[기고] 학교폭력 응답률 1위 오명 씻어야

오피니언[한 컷 미술관] 이보영 개인전: 만들어진 그 곳

자치·의회국립진안고원산림치유원 전북 동부권 활성화 마중물 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