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1일 세종시 추모의 집에서 한국전쟁 전주 민간인 희생자 유해 안치식 가져
당시 인민군이 전주형무소 수형자 1400여 명 황방산 일대에서 집단 학살해 매장
감식·보존처리 완료된 유해 34구와 유품 129점 안치, 2차 유해발굴 용역 추진 중
한국전쟁 당시 이념대립에 의해 희생된 전주지역 민간인들의 유해가 70년 만에 영면에 들도록 안치됐다.
전주시는 1일 세종시 추모의 집에서 김승수 전주시장과 전주형무소 민간인희생자 유족 등 3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한국전쟁 당시 민간인 희생자에 대한 유해 안치식을 가졌다.
전주지역 한국전쟁 민간인 희생사건은 1950년 여름 인민군이 전주에 진입하기 직전 전주형무소에 수감돼있던 수형자 1400여 명이 효자동 황방산 및 산정동 소리개재 등에서 집단으로 학살돼 매장된 사건이다.
전국적으로 벌어진 민간인 학살은 100만 명으로 추산된다. 2005년 1차 구성됐던 진실화해위원회의 조사결과 유해매장지는 168곳에 이르고 있으나, 정부 차원의 총괄적인 발굴 및 보상 정책이 미흡한 실정이다.
전주시는 역사의 진실을 규명하고 유족의 아픔을 위로하기 위해 전국 지자체 중에서도 선제적으로 유해발굴 사업을 추진했다.
지난해 유해매장 유력 추정지인 황방산 일대와 소리개재 일대를 시굴·발굴했다. 황방산 일대에서 두개골과 치아, 다리뼈 일부 등 유해 237점과 M1소총과 권총의 탄피, 벨트 등 유품 129점을 발굴했고 감식 및 보존처리를 통해 최소 34개체임을 확인했다.
이날 시는 유족들과 함께 민간인 희생자의 넋을 위로하기 위한 추모제례를 진행한 뒤, 감식 및 보존처리가 완료 된 유해와 유품을 엄숙히 안치했다.
성홍제 전주형무소 민간인 희생자 유족회장은 “억울하게 희생된 고인들의 유해발굴 사업은 역사에 대한 치유의 과정”이라며, “국가 차원의 조사를 통해 명예회복이 하루빨리 이뤄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최현창 전주시 기획조정국장은 “역사의 진실을 밝히는 것은 미래를 위한 가장 선도적인 정책이고 후대에 대한 마땅한 의무”라면서 “민간인 희생자들의 명예회복이 이뤄질 수 있도록 2차 유해발굴에도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