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대 김용주 교수팀, 3년 연구 끝에 효과 규명
대체의학 분야 세계적 학술지 최신호에 논문 게재
한방 치료에 널리 활용되는 뜸이 스트레스 호르몬을 크게 줄여준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관심을 끌고 있다.
전북대학교는 환경생명자원대학 한약자원학과 김용주 교수 연구팀(주저자 황경호 한약자원학과 대체의학 담당교수 / 공동 주저자 장기영 박사, 남상윤 전주대 명예교수)이 최근 이같은 연구 성과를 담은 논문을 발표했다고 23일 밝혔다.
이 연구 논문은 뜸의 한 방법인 ‘직접구(피부 위에 쌀알 절반 크기의 뜸을 뜨는 방식)’가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티솔’ 분비를 줄여준다는 것을 3년에 걸친 실험 끝에 밝혀냈다.
연구팀은 지난 3년 간 굶주린 쥐의 중완(CV12)이라는 경혈에 뜸을 시술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실험을 통해 연구팀은 쥐 복부에 쌀 반톨 정도의 뜸을 떴는데, 굶주림으로 분비되던 스트레스 호르몬 코티솔의 혈중 농도가 크게 줄어든 것을 확인했다.
또 스트레스로 인해 감소됐던 흉선과 골수, 비장의 세포성 변화를 동반한 림프 전구 세포 생산이 현저히 회복된 것도 확인됐다.
연구팀은 뜸 치료가 스트레스 호르몬 분비를 조절시켜 스트레스 유발 림프구 형성 장애를 회복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 결과는 2월 초 대체의학 관련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학회지인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온라인 판에 게재됐다.
김용주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피부에 직접 뜸봉을 태워 시술하는 직접구의 일부 효과를 세계 최초로 과학적으로 증명해 냈다는데 그 의의가 매우 크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