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집 전문 책방을 운영하고 있다고 소개하면 많은 사람들이 멋지고 대견하다는 반응을 보여준다. 머쓱하지만 그런 응원들은 고맙고 힘이 된다. 그런데 가끔 어떤 사명감을 가지고 책방을 운영한다고 넘겨짚는 사람들이 있다. 모든 분야의 자영업이 어려운 시기에 책방을, 그것도 잘 팔리지 않는 시집만을 팔고 있으니 그런 것 같다. 책방의 목표나 비전을 궁금해하는 사람들도 많다. 이런 어려운 길을 가는 이유는 어떤 대의가 배경에 있을 것으로 생각하는 것 같다.
하지만 책방을 운영할 때, 사명감이나 목표 의식은 잘 느껴지지 않는다. 사명감이라는 것은 주어진 의무를 책임 있게 수행하려는 마음가짐이다. 타인이 나에게 달성해야 할 목표를 주었고 그 목표를 달성하기를 기대하고 있다는 것이 사명감의 전제가 된다. 일단 이 전제가 성립하지 않는다. 책방을 열기 전에 지방에 시집 책방을 기대하고 있는 사람들의 존재를 알고 있던 것이 아니었다. 나는 나의 필요에 의해 이 공간을 열었다. 거창한 목표도 없다. 얼마의 매출을 달성해야겠다거나, 큰 영향력을 바라지도 않는다.
책방을 운영하는 원동력은 아주 작은 것이다. 사명감이나 목표 의식 같은 것이 아니다. 책방을 운영하는 가장 작은 단위의 일들이 나에게 불러일으키는 감정을 좋아한다. 정해진 시간에 처음 책방을 열고 들어갔을 때 느껴지는 서늘한 공기. 잠시 한 공간에 머무는 손님들로부터 느껴지는 느슨한 연결감. 책장과 책상에 먼지를 닦고, 바닥을 쓸고, 삐뚤어진 책들을 정돈한 후, 잠시 가만히 책방을 바라볼 때 느껴지는 상쾌함. 커피를 내릴 때 나는 냄새. 불을 끄고 문을 닫을 때 오늘 하루도 잘 영업했다는 뿌듯함. 이 감각과 감정을 좋아하고 있다. 이런 작은 것들이 원동력이다.
사명감과 목표 의식은 중요하지만, 행동을 이끌어 내고 그것을 유지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무슨 일이든지 그 일의 가장 작은 단위를 수행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면 동력을 잃기 쉽다. 악기 연주를 예로 들어보자. 처음에는 연주하고 싶은 노래가 있거나 그 악기를 연주하는 것이 멋있어 보이기 때문에 그 악기를 시작했을 것이다. 하지만 그 목표 의식은 악기연주 기초에서 만나게 되는 지루한 반복 연습에 좌절될 때가 많다. 하루 종일 기초만 연습하다 보니 목표는 멀게만 느껴지고 그렇게 악기를 그만두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대단한 목표가 없더라도 그저 악기를 연주할 때 느껴지는 감각을 좋아하게 된다면 어떨까? 건반을 누를 때 손가락에서 느껴지는 압감. 현을 튕길 때 몸에 전해지는 진동. 호흡이 소리가 되는 감각을 사랑하게 된다면 반복연습은 지루하지 않을 것이고 연주 실력이 빠르게 늘 것이다.
타인을 위해 자신을, 미래를 위해 현재를 소모하는 감각은 우리를 빠르게 지치게 만든다. 사명감과 목표 의식의 함정이 여기에 있다. 특히 미래를 위해 현재를 소모하는 감각은 지금의 20-30세대가 인생 전반에 걸쳐 느껴왔다.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취업, 출산, 육아로 이어지는 직선적이고 단일한 인생을 살 것을 강요하고, 그 밖으로 나가는 것을 도태나 실패로 여기는 풍조는 한국의 청년 자살율이 이렇게 높은 이유이다.
우리는 현재를 더 감각해야한다. 생산적이지 않다면 시간을 버리는 것이 아니다. 그냥 흘러가는 시간은 없다. 살아있는 이상 우리는 감각과 감정 속에 있고 그것들을 소중히 여기고 하나 하나 쓰다듬는 것은 중요하다. 그것이 삶을 지속 가능하게 하니까.
천기현 시집책방 조림지 대표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