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경찰이 본질은 외면한채 책임떠넘기기에만 급급해 비난을 사고 있다.
최근 5년간 도내 교통사고 발생율이 전국최고라는 지적이 제기되자 전북경찰은 대책마련 보다는‘누가 자료를 유출시켰나’에만 촉각을 곤두세우는 추태를 보였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지난 3월 경찰대개혁 1백일작전을 마무리한 전북경찰은 개혁의 약효가 벌써부터 희석되고 있다는 지적도 면키 어렵게 됐다.
지난 5년간 교통사고 발생현황을 분석한 결과 전북지역 교통사고 발생 증가율이 전국평균의 3배 이상을 웃돌았다. 지난해 도내지역에서는 1만3천7백71건의 교통사고가 발생, 지난 95년(1만1천43건)에 비해 35.7% 급증한 반면 전국적으로는 같은 기간 10.9% 증가에 그쳤다. 또한 도내지역에서는 지난 5년간 교통사고로 인해 웬만한 군(郡)단위 인구와 맞먹는 7만2천여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이와 맞물려 각계에서는 특단의 대책을 마련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교통사고 관련자료는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인터넷홈페이지(www.rtsa.or.kr)에서 누구든지 열람이 가능하다.
그러나 정작 전북경찰은 대책마련에 치중하기 보다는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관계자에게 “자료만 내주지 않았다면 이같은 지적이 제기될수 없는데 일을 크게 만들었다”며 책임떠넘기기에만 급급했다는 것. 이는 전북경찰의 ‘무조건 감춘다’는 후진근성을 재확인시켜준 셈이다. 전북경찰의 무사안일주의 및 폐쇄성은 어제오늘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자료를 내주면 불리해진다며 자료감추기를 일상화한지 오래다.
이에대해 시민들은 “교통사고가 이렇게 많이 발생했다면 이제부터라도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한 대책마련에 몰두하는 것이 순리가 아니냐”며 “책임전가에만 급급한 전북경찰이 실망스럽다”고 지적했다.
이같은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리는 행태가 계속된다면 ‘전북은 교통사고 왕국’이라는 불명예는 영원한 꼬리표로 남을 것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