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시장은 서민·자영업자 삶의 터전
재래시장은 서민들과 자영업자들의 일터였다. 어려웠던 시절 자식을 먹여 살리는 치열한 삶의 터전이자 숨가쁘게 살아가는 생업현장이다. 해당지역 주민들이 서로 안부를 묻고, 파전에 막걸리잔을 기울이던 소통의 공간이기도 했다.
아직도 읍·면마다 5일장이 서는 곳이 여러 곳이 남아 있다. 지역의 생산자와 소비자가 필요한 물건을 사고, 파는 거래의 중심지이다, 시장의 활력은 지역경제를 가늠하는 척도였다. 시장에 주민이 몰리고, 장사가 잘되면 그 지역의 경기도 살아났다. 재래시장이야말로 백화점이나 대형 할인점이 생겨나기 이전부터 오랫동안 소매유통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해 온 지역경제의 중심이다.
이같은 전통재래시장은 대형 할인점, 백화점 등과 같은 현대적인 유통시설이 들어서면서 침체를 겪고 있다. 전국의 전통시장 수는 2005년 1660개에서, 2012년에는 149개나 줄어 들었다. 하루평균 매출액도 2012년에는 2004년 대비 29%이나 감소했다. 한편 SSM(기업형수퍼마켓) 점포수는 2007년 354개였으나 2012년에는 점포수가 1,013개에 달한다. 주요 대형마트 3개사의 2011년 매출액은 무려 25조 7874억원에 이른다.
이런 전통시장을 살리기 위해 지난 2005년 3월, 재래시장에 대해 종합적·체계적 지원을 위한 재래시장육성을 위한 특별법이 제정됐다. 하지만 전통시장이 기대만큼 활성화되지 않고 있다. 계속해서 전통시장의 수도 줄어들고 경영여건이 악화되고 있다.
특히 지난해 유통산업발전법 개정으로 대형유통업체에 대해 월 2회 의무휴업, 영업시간 제한개설예고제 등 규제를 강화했지만 상품공급점이라는 새로운 형태로 지역사회의 재진입을 모색하고 있다. 전통재래시장과 지역영세상인들의 위기는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주차장 설치 등 현대화 사업 지원을
서민들의 생활의 터전인 전통재래시장이 살아나야 한다. 지역경제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경쟁력을 다시 회복한 서울의 자양골목시장, 통인시장 등의 사례 연구도 필요하다. 전통시장별로 특화전략도 필요하다. 전통시장의 주차장 설치 등 현대화사업 지원을 늘리고 자영업자와 영세상인에 대한 서민금융지원 확대해야 한다.
‘전통시장 경영혁신사업’ 지원도 더 늘려야 한다. 또한 상품공급점 등 변칙적인 유통형태의 등장에 대해서도 효과적이고 합리적인 규제와 대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지역경제를 살리기 위해서라도 서민들의 삶의 터전인 전통시장을 활성화시켜야 한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