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쟁력 확보위해 서비스업 등 산업분야 정확한 통계자료 필수
각 사업체 부문에 대한 산업구조와 경영실태 등을 종합적으로 파악하여 각종 정책수립 및 경영계획의 기초자료 등으로 제공하기 위해 실시되는 경제통계통합조사의 대상통계는 총 9종이다.
이중 통계청이 주관하는 조사는 기업활동조사, 운수업조사, 도소매업조사, 서비스업조사,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조사, 광업제조업 및 서비스업동향조사로 7종이며, 지자체에서 주관하는 조사는 광업제조업조사, 경제총조사 시험조사로 2종이다.
2009년부터 실시되고 있는 경제통계통합조사는 올해로 5년째를 맞이하고 있는데, 주된 도입배경은 각종 산업별 연간조사가 서로 다른 시기에 실시함에 따른 중복방문 문제가 발생하여 조사 대상 업체의 조사자료 공유 활용 요청 및 이에 따른 응답부담의 최소화, 행정효율성 향상을 위한 것으로, 작년에 실시된 2012년 기준 통합조사에서는 8.7%의 중복방문 및 조사를 줄이는 효과를 가져오기도 했다.
경제통계통합조사의 주된 추진 방향은 통합조사 대상통계 9종에 대하여 1사업체는 1인이 통합 담당하여 대상사업체를 조사하는 One-Stop Survey을 실시하여 약 2만 5천개 사업체의 중복방문 해소, 사업체의 사업실적(매출액, 영업비용), 자산, 자본금, 자본잉여금 등 일부항목을 행정자료로 대체(법인세, 사업소득 신고자료)하여 응답부담 및 조사정도를 제고하는 것이다.
이번 조사는 조사대상 사업체의 재무 상태를 잘 아는 실무자를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원칙으로 하되, 조사의 효용성과 응답자의 편의성 제고를 위해 인터넷조사(6월11일부터 30일까지)도 병행해 실시하고 있으므로 소규모 사업체, 공공행정기관 등을 비롯한 모든 사업체가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기를 바란다.
21C는 FTA 등으로 인하여 국가간 무역장벽이 없어지고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무한경쟁 시대라 해도 과언은 아니다.
이러한 시대의 흐름속에서 국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경제통계통합조사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하여 광업제조업, 서비스업 등 산업분야별로 정확한 통계자료를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경제통계통합조사 자료는 국제사회의 경쟁력 제고에도 유용하게 활용되지만, 국내의 경제현황을 살피고 올바른 정책을 펼칠 수 있어 조사에 참여한 사업체의 운영에도 간접적인 도움을 주게 될 것이다.
각 사업체 및 국민들이 국가의 정책 및 경영 계획 수립에 이바지 한다는 자부심으로 또한, 국민과 국가가 함께 미래를 준비한다는 마음으로 적극적인 협조와 참여를 부탁하며, 정확한 경제통계통합조사 자료가 모든이에게 실질적인 혜택으로 이어질 수 있길 진심으로 바라는 마음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