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지역에 비해 정부 정책 지원 미흡 / 국가 예산 등 확보 위한 법적 근거 필요
전주는 한옥마을 등 전통문화를 기반으로 연 1000만 명의 관광객이 찾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문화도시가 됐다. 그런 전주가 파리, 런던 등과 경쟁하고 이를 통해 향후 세계적인 문화도시가 되기 위해서는 ‘문화 특별도시’로 육성해야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전주의 풍부한 문화DNA를 지역발전, 국가발전의 동력으로 활용하려는 지방자치단체를 넘어선 국가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이야기다.
전주 한옥마을은 지난 한 해 방문객이 사상 처음으로 1000만 명을 넘어섰다.
연간 관광객이 1000만명을 넘어선 곳은 제주도 등 일부 지역이 있기는 하지만 역사와 문화자원 등 전통문화관광 상품만을 앞세운 도시로는 전주가 유일하다.
1000만 관광객을 유치한 전주 전통문화의 저력은 단순히 문화영역에만 국한되지 않고 관광경제로 이어져 지역경제의 활성화와 시민들의 삶에 보탬이 되는 원동력이 된다.
국내 다른 도시들에 비해 쇠락하고 낙후돼 전통을 지킨 한옥마을이 도심을 먹여 살리고 있는 역설을 대선 공약화하고 정책으로 만들어 문화 도약을 꿈꾸고 있는 곳이 바로 전주시다.
이를 위해 전주시는 전주를 글로벌 문화도시로 성장시켜 나갈 수 있는 법적 근거인 ‘전통문화도시 특별법’제정을 제19대 대선공약으로 발굴해 각 정당에 전달했다.
특별법은 전통문화와 예술을 중심으로 하는 전통문화도시 종합계획 수립과 시범도시(전주) 조성, 한문화 원류·원형 복원 및 재창조, 과학기술과 융합한 한문화산업 육성 등을 주 골자로 하고 있다.
전주의 우수하고 풍부한 전통문화 자원을 국가 차원의 새로운 문화브랜드로 만들 수 있도록 국가정책 반영과 예산 지원 등의 뒷받침 내용도 담겨 있다.
전주의 구도심에는 전라감영 등 오랜 삶의 흔적부터 근현대 건축자산이 혼합돼 어디에서도 볼 수 없는 독특한 콘텐츠가 모여 있다.
전주시는 이같이 천년이 넘는 시간동안 축적된 역사와 문화, 건축 등과 다양한 삶의 이야기를 프로젝트에 담아낼 경우, 100~200년 이후 전주의 미래를 좌우할 성장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그동안 전주시는 자구적인 노력 외에 사실상 정부의 정책지원은 타 지역보다 소원해 ‘지역균형발전’이라는 취지에도 맞지 않았다.
전주시가 지난 2000년부터 2016년까지 전통문화중심도시 조성사업으로 지원받은 국비는 420억 원뿐이다. 단순히 계산하면 1년에 겨우 25억원 정도씩 지원된 셈이다.
반면 광주 문화중심도시사업에 지원된 국비는 지난 2008년부터 올해까지 무려 9346억원에 달한다. 매년 935억원씩 지원된 셈이다.
더욱이 이 사업에 오는 2026년까지 9346억원이 지원되는 것을 고려하면 무려 2조 7679억원의 국비가 투입될 예정이다. 전주의 예산과 비교하면 66배의 차이가 난다.
광주 문화중심도시 조성에 필요한 올해 국비만 680억원으로, 이는 전주 전통문화중심도시 조성사업에 지난 17년간 투입된 예산의 1.5배 수준이다.
경주시의 예산도 전주와 크게 차이가 난다. 정부는 2005년부터 대단위 국책프로젝트 사업의 일환으로 경주를 역사문화도시로 만들기 위해 오는 2034년까지 총 3조 3000억원을 투자하기로 했으며, 공주·부여 역시 2007년부터 2030년까지 1조 2577억원을 들여 역사문화도시로 조성할 계획이다.
이 같은 차이는 전주가 국가 단위의 정책 추진 체계와 예산지원 등을 위한 법적 근거가 마련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에 전주를 문화특별시로 지정하고 특별법을 제정해서 특별회계를 마련하는 등 특단의 대책이 요구된다.
아울러 전주 문화특별시로의 지원은 전주의 강점인 전통문화를 기반으로 하는 글로벌 관광도시로의 도약을 통해 단순히 하나의 도시가 성장하는 게 아니라 주변 도시, 그리고 광역권(전북)의 도시들이 함께 성장하는 국가적 성장 모델이자, 지역균형발전정책의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