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경제 15%·군산 경제 24% 차지 / 6월 공식 폐쇄 앞두고 대량 실직 불보듯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도크 폐쇄와 관련 전북 경제 ‘위기론’이 현실화되고 있다.
도민과 정치권이 공조해 선박 수주 물량의 군산조선소 우선 배분 목소리를 높이고 있지만 정부는 미동조차 없고 오히려 냉랭하기만 하다.
이를 바라보는 도민들의 시각은 근심을 넘어 분노로 변하고 있다. 군산조선소 문제 해결을 공약으로 내세운 각 정당의 대선 후보에게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1조2000억원이 투입돼 설립된 군산조선소는 지난 2008년 5월 7일 기공식을 시작으로 축구장 면적의 4배에 달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도크(700m×115m×18m)와 한 번에 400대의 자동차를 들어 올릴 수 있는 골리앗 크레인(1650톤)을 갖춰 2010년 2월 가동에 들어갔다.
이런 군산조선소는 전북 경제의 15%, 군산 경제의 24%를 차지하고 있지만 가동 7년만인 오는 6월 공식 폐쇄를 앞두고 있다.
폐쇄 절차를 밟으면서 근로 인원(협력업체 포함)은 지난해 4월 5250명에서 3월 말 현재 2044명으로 3206명이 일자리를 잃었다.
또한 생산과 건조, 의장 등을 책임지던 군산조선소 협력사 86곳 가운데 47개 업체가 일감이 없어 폐업한 데 이어 오는 6월 가동 중단 이후에는 남아있는 협력사마저 도미노 폐업은 물론 대량 추가 실직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결국 불꺼진 ‘전북 경제’를 우려하는 도민들의 목소리는 범도민 궐기대회로 번진데 이어 군산조선소 재가동을 요구하는 100만 도민 서명운동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 도내 시민·사회·경제단체들은 정부 주도로 군산조선소 재가동을 위한 선박펀드 물량 우선 배분 등의 다각적 대안이 선행돼야 한다고 주문했다.
대선후보들과 정치인들도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재가동 문제를 국가적 사안으로 공감하고, 공약을 잇따라 내놓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는 국내 조선산업 전체가 어려운 상황이지만 분명한 것은 조선산업의 불경기가 있으면 호황이 있는 것으로, 세계경기가 회복될 때까지 국가 차원에서 국내 조선사업의 수요를 만드는 게 중요하다는 입장이다.
공공 발주를 늘리고 노후선박을 국가가 지원해 새로운 선박으로 교체하는 동시에 조선경기가 회복될 때까지 군산조선소에 최소물량을 배정해 버텨 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또 균형발전과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 등을 고려해 현대중공업 측과 긴밀히 협의하고 중앙정부도 적극 지원에 나서야 한다고 피력했다.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도 기업의 목적은 이윤추구에서 사회적 환원으로 변하고 있고 이익 최대화는 옛날 방식의 경영이며, 기업의 사회적 책임 측면에서 현대중공업을 설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 후보는 신규 물량을 우선 배치하고, 필요하다면 정부 지원을 통해 조선산업 경기가 살아날 때까지 존치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또 군산조선소 도크 폐쇄 문제와 호남의 기업과 노동자의 생계를 보호하고, 지역경제를 지키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처럼 도민은 물론 대선후보와 정치권이 공조해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도크 폐쇄 문제 해결에 의지를 밝히고 있어 대선후 이 같은 약속이 지켜질지 관심이 집중된다. <끝>끝>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