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태 이후 대한민국 경제 회복을 위해 추진하는 국가 프로젝트인 한국판 뉴딜사업과 관련, 전라북도가 내년도 전북형 뉴딜사업 예산으로 총 138건에 5477억 원을 확보했다. 당초 정부 부처에서 반영된 120여 건, 3807억 원보다 1670억 원이 증가한 규모다. 이는 내년도 한국판 뉴딜 예산 20조4000여억 원의 2.7% 정도로 대략 전라북도의 경제 규모와 맞아떨어진다.
이처럼 내년도 전북형 뉴딜 예산 확보에 괄목할 만한 성과를 보인 것은 전라북도를 비롯한 시·군 자치단체와 지역구 국회의원, 그리고 제1야당인 국민의힘의 적극적인 협력이 낳은 결과가 아닐 수 없다. 특히 코로나19 사태로 대면 국가 예산확보 활동이 어려운 상황 가운데서도 자치단체와 정치권이 유기적인 공조체제를 구축하고 전방위적인 활동을 벌인 결실이다. 당초 국민의힘에선 한국판 뉴딜 예산의 50% 삭감을 주장하고 나서 전북형 뉴딜 예산 확보에 어려움이 예상됐다. 그렇지만 지역구 의원들의 줄기찬 노력과 함께 전북출신 국민의힘 비례대표 정운천 의원과 추경호 의원 등의 협력 덕분에 국회 심의단계에서 전북형 뉴딜 예산을 늘리는 성과를 거둔 것이다.
이번에 확보한 전북형 뉴딜사업은 디지털 뉴딜 33개 사업, 그린 뉴딜 77개 사업, 사회안전망 부문 19개 사업 등으로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에너지와 농생명 인프라 구축, 그린모빌리티, 새만금 개발, 일자리 창출사업 등을 추진하게 된다. 전라북도가 미래 성장동력으로 선정한 사업들이 주로 반영돼서 전북 발전에 대한 기대감이 높다.
하지만 일부 뉴딜사업 가운데는 그동안 추진해 온 사업들이 전북형 뉴딜사업으로 포장된 경우도 있어 재탕 논란과 함께 실효성 문제 제기도 나온다. 또한 굵직굵직한 대단위 사업보다는 자잘한 사업이 많고 사업 추진 주체들도 제각각이다.
따라서 전북형 뉴딜사업의 효율적인 사업 추진을 위해선 그린 뉴딜과 디지털 뉴딜 분야에 대한 전담 조직과 함께 전문 인력 확보, 그리고 이를 총괄할 콘트롤타워가 필요하다. 특히 뉴딜사업을 통해 전북의 미래 성장을 견인하려면 사업의 지속가능성과 구체적인 성과를 내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