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민호 전북대학교 교수
 
   학령인구 감소와 지방대학의 존폐 위기가 드디어 현실로 다가왔다. 설마 우리 대학이 혹은 아직 먼 이야기이겠지 하고, 짐짓 팔짱을 끼고 여유롭게 바라보던 시선은 이제 발등에 불이 됐다. 보도에 따르면, 2021학년도 대학 입시에서 4년제 대학 162개교는 정원을 채우지 못했는데 대부분이 지방대학이다. 전체 대학의 신입생 충원율은 91.4%에 불과하며, 미충원의 75%가 지방대학에 집중돼 있다. 이처럼 지역인재의 수도권 유출은 자연스럽게 지역소멸 위기론과 맞닿아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10·20대 수도권 순이동률은 10대는 0.2%에서 0.4%로, 20대는 1.4%에서 2.1%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청년의 인구 이동과 더불어 지방대의 생존문제은 지역경제와 직결된다. 강원연구원에 따르면 대학생 1명당 월 100만원 이상의 경제유발 효과가 발생하는데, 대학생 1만명이 줄어들 경우 지역 경제에 월 100억원의 손실 효과를 보인다고 한다.
지방자치 시대에 지역의 발전을 이끄는 주체로서 거점 국립대학의 역할과 기능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예컨대, 고등부분의 정부재원은 GDP대비 OECD 평균이 1%인데, 우리나라는 0.6%에 불과하다. 지역 스스로 지역발전을 위해 지자체와 대학이 머리를 맞대고, 그 대안을 찾으려는 노력이 절실한 시점이다.
2020년도부터 지자체와 대학은 교육부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아 지역혁신사업을 추진하는 자구적인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예컨대, 2020년도에 경남, 충북, 광주·전남을 시작으로 2021년엔 대전·세종·충남이 신규 진입하여 지역혁신모델을 발굴 및 추진하고 있다. 해외의 경우 1849년에 설립한 헬싱키 기술대를 비롯해 헬싱키 예술대, 헬싱키 경제대 등은 최소 100년 이상의 역사를 자랑하고 있다. 이런 유수의 대학들을 2010년부터 통합하여 태동한 알토대학은 우선적으로 학문의 융합을 통한 혁신과 창조를 기치로 내걸고 있다. 때문에 지자체 대학은 물론 기업 공공기관 등 다양한 이해당사자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유기적인 선순환 시스템을 만들어 내고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보다 더 힘든 상황에서도 성공을 거둔 외국의 대학 사례는 더더욱 많다.
혁신과 활력을 바라는 전북과 지역사회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역동적인 대학으로의 환골탈태 자세가 요구된다. 우선적으로, 지역의 대학들이 종합대학으로써 교육, 연구뿐 아니라 산학협력, 봉사 등 모든 분야를 아우를 수는 없다. 오히려 해당 학교만의 장점을 중심으로 핵심 분야를 선정하고, 그 분야를 특화하는 차별화 전략이 긴요하다고 본다. 물론 정부의 지속적인 경제적 지원과 제도적 뒷받침도 빼놓을 수 없는 문제라고 생각한다.
지금처럼 정부 평가 위주의 대학 지원 사업을 재고해야 한다. 근본적으로 지역별 거점대학을 중심으로 학문분야의 특성화 및 지방대학 진학을 유도하는 실질적인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국립대 통합 문제도 그런 관점에서 해법을 찾다 보면 가시적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믿는다. 또한 공공기관 직원 선발 때 지역 할당제를 파격적으로 늘려야 하는 이유도 마찬가지다. 이제는 발등에 떨어진 불을 혼자 끄기 보다는 지자체·공공기관과 연대하여 한 마음으로 대처해야 한다. 이러한 노력이 바로 ‘역동’의 시작이다. /이민호 전북대학교 교수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