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교통공단 전북지부가 최근 일선 학교 교통안전시설에 대해 현장점검을 실시한 결과 기준에 맞지 않은 안전시설이 적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어린이보호구역으로 지정해놓더라도 교통안전시설이 미흡할 경우 사고 위험이 그만큼 클 수밖에 없다. 운전자와 보행자의 안전의식과 함께 안전시설을 제대로 갖출 때 어린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을 것이다.
교통공단 점검결과 전주시내 한 학교의 경우 고원식 횡단보도(보도와 같은 높이로 만든 횡단보도)가 규정보다 낮게 설치됐고, 오르막 경사구에 미끄럼 방지 포장재가 설치되지 않았다. 또 다른 학교의 경우엔 교차로 면적이 넓고 도로모퉁이 회전반경이 적절치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무인교통단속장비를 설치하지 않거나 눈에 확 띄지 않는 교통표지판, 교통안전시설의 노후화도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두 학교에 대한 시범 점검 결과지만, 대부분 학교들의 경우도 비슷한 문제를 안고 있다. 어린이보호구역 교통사고로 발생하는 어린이 사상자의 대다수가 보행사고다. 보행자보호 및 안전운전불이행이 주된 원인으로 꼽힌다. 어린이들이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는 보행로 확보와 과속 등 교통위반을 막도록 단속장비를 필히 설치해야 하는 이유다.
어린이보호구역 교통사고에 대한 처벌이 강화됐으나 어린이보호구역에 대한 정비가 뒤따르지 않아 법과 현실이 겉돌고 있는 문제를 본란에서도 여러 차례 지적했다. 운전자들의 어린이보호구역 교통안전 의식이 높아진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어린이보호구역에서 교통사고가 끊이지 않는 만큼 더욱 세심하게 학교 현장을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 학교 주변 새 도로 개설 등으로 주 통학로가 바뀌더라도 이를 반영하지 못한다면 말뿐인 어린이보호구역이 될 것이다.
이번 기회에 모든 학교들을 대상으로 전수 조사를 실시해서 잘못된 시설들을 정비하는 게 어떨까. 학교 현장을 직접 점검해야 탁상에서 획일적으로 그리는 그림 대신 현장에 맞는 실질적인 답을 찾을 수 있다. 재정문제 때문에 어린이들이 사고위험에 노출되어서는 안 될 말이다. 지자체와 경찰, 교통공단, 각급 학교가 힘을 합쳐 현장 특성에 맞는 적합한 정비방안을 마련하길 바란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