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도 예산안에 대한 국회 심사가 막바지에 이르고 있는 가운데 윤석열 대통령의 전북 관련 공약에 적신호가 켜졌다. 압도적 지지와 정∙관계에 포진한 인맥에도 불구하고 문재인 정부 시절 전북의 주요 현안들은 크게 진전되지 못했던 게 사실이다. 그런데 현 정부 들어 가뜩이나 정치 환경이 열악해지면서 대통령 공약은 아예 첫발조차 떼지 못하는 최악의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윤석열 정부의 전북 공약은 크게 7가지로 46개 세부과제다. 집권여당이 공식적으로 채택한 전북 공약은 △새만금 메가시티 동북아 신허브 조성 △연기금특화 국제금융도시 육성(제3금융중심지 지정) △주력산업 육성·산업 특화단지 조성 △휴양·힐링·체험형 관광벨트 구축 △세계 식품시장 중심지 조성 △생활스포츠 메카 △동서횡단철도·고속도로 건설 등이다.
판단하기에 좀 이른 감이 있지만 실현 가능성에 의구심이 커지고 있다. 극심한 여야 정쟁으로 인해 야당인 민주당의 힘만으로 추진하는 게 극히 어려운 실정이고, 정부 여당에서도 현실적으로 호남의 변방에 불과한 전북에 과감한 투자를 하는 게 별다른 매력이 없기 때문이다. 누구 한 사람 전북 공약을 챙기는 사람이 없는 상황에서 해법은 결국 윤석열 대통령이 통 큰 결단을 해야만 전북 관련 핵심공약의 추진이 가능해진다는 점이다. 지난 5월 윤 대통령과 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지역균형발전특별위원회는 △무주국제태권도사관학교 건립(1400억원) △국립전북스포츠종합훈련원(2000억원) △지리산·무진장휴양관광벨트(3884억원) △지덕권(지리산·덕유산) 산악관광특구 조성(2000억원) △휴양과 힐링의 웰니스 관광거점육성(3000억원) 등 총 5개의 공약을 제시했다. 장미빛 청사진을 보고 도민들의 기대가 컸던 게 사실이다.
후보 시절 윤 대통령과 국민의힘은 전북 낙후의 책임을 민주당이 독주한 30년으로 규정하면서 과감한 투자와 지원을 약속했다. 새 정부 출범과 함께 이젠 뭔가 달라질 거라는 기대감이 생겼던 것도 사실이다. 냉정하게 말하면 전북 관련 현안은 문재인정부 때만도 못한 상황이다. 김관영 지사와 도내 시장군수, 그리고 무엇보다도 전북 정치권의 과감하면서도 역동적인 행동이 필요한 시점이다. 무엇보다도 윤석열 대통령의 과감한 결단이 이뤄져야 한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