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4 22:11 (Tue)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오피니언 chevron_right 새벽메아리
외부기고

새해 인사, ‘손글씨’로 마음을 담다

image
김용재 전주교대 교수

한 해가 간다. 부모님이나 은사, 지인들에게 그동안의 고마움을 전하는 때이다. 새해 인사를 주고받는 몇 마디의 언어가 감동으로 다가온다. 상대방의 안부를 물으며 자신의 정중한 뜻을 전하는 글귀에서 우리는 상대의 마음에 공감하며 정성의 아름다움을 느낀다. 연말연시를 맞아 쏟아지는 인사말 홍수가 카톡이나 밴드, 문자 메시지, 이-메일을 통해 넘쳐난다.  

연하장이나 편지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입력되는 ‘폰트 언어’가 아닌 ‘손글씨’를 본다면 어떠할까. 자신의 진솔한 마음을 전하는 데에는 속도의 아이콘인 컴퓨터 글보다 영혼이 깃든 손글씨가 제격이다. 글쓰기의 수단이 펜에서 컴퓨터 자판으로 이양한지 오래이다. 시인 하재봉의 말대로 글을 쓰는 것이 아니라 글을 ‘치는’ 시대이다. ‘터치 스크린’시대, ‘디지털 노마드’ 세상에서 손글씨는 번거롭다고 외면 받고 있다.  

컴퓨터 글쓰기는 편집과 교정의 편리성으로 인해 일반화되었다. 나의 정신을 손으로 옮겨 자판을 두드리는 행위가 손으로 글을 쓰는 일을 대신하고 있다. 하지만, 글쓰기 완성의 속도와 꼭 비례하지 않는 것 같다. 쓰기의 막힘이나 머뭇거림은 손으로 글을 쓰는 것과 별반 다름이 없다. 나는 컴퓨터로 글을 쓸 때, 모니터에서 깜박이는 커서와 힘겨루기 하는 것 같은 느낌이 들 때도 있다.  

옛 선비들은 글씨에 그 사람의 정신과 혼이 깃들어있다고 생각했다. 작가들의 글쓰기가 연필이나 펜에서 컴퓨터 글쓰기로 옮겨 갔지만, 육필의 힘을 믿는 작가도 많다. “연필로 쓰면, 내 몸이 글을 밀고 나가는 느낌이 든다.” 작가 김훈의 고백이다. 원고지에 한 자 한 자 눌러 쓰는 손글씨는 그의 말대로 ‘아날로그적 기쁨’인지도 모른다. ‘손가락으로 바위를 뚫어새기는’ 마음으로 한 자 한 자 만년필로 눌러 써서 작품을 완성해간 <혼불>의 작가 최명희 선생의 의지도 되새겨볼 일이다.

디지털 시대에도 손글씨를 버려서는 안 된다. 초등학교 1학년 국어교과서 첫 단원의 이름은 ‘바른 자세로 읽고 쓰기’이다. 아무리 아이패드 학습 시스템이 미래교육의 한 방식이라고 강조해도 그 기본은 바르게 앉아 바르게 글을 쓰는 일이다. 아이들에게 글씨만 보여주는 경우보다 직접 써보게 한 경우에 뇌가 해당 단어에 훨씬 활발하게 반응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직접 손으로 필기를 하며 수업에 참여해야 학습효과가 배가된다고 한다.   

매년 1월 23일을 ‘손글씨 쓰기의 날’로 정한 사례도 있다. 미국에서 제정한 이 날은  ‘독립선언서’에 최초로 서명한 존 핸콕의 생일이다. 제정에 앞선 이들은 “현대인들은 빠르고 편리한 것에 익숙해지면서, 정작 인간적인 숨결이 배어나오는 손글씨가 주는 감성적 소통의 중요성을 잊고 산다”고 경고하고 있다. 손글씨의 생활 문화적 가치를 되새길 때이다. 연하장이나 편지글을 쓸 때 컴퓨터로 작성하는 것이 편리하다고 하더라도 가끔은 손글씨로, 또는 보내는 이에 자필 서명이라도 정성껏 써서 보내면 좋겠다.  

로맨틱 영화의 고전으로 알려진 <러브 액츄얼리>에서 남자 주인공이 스케치북에 크게 쓴 손글씨로 사랑을 고백하는 장면이 오랫동안 잔상으로 남는 이유는 무엇일까. “니가 그리운 날에/ 편지를 쓴다/ 내 추억을 담아/ 내 기억을 담아/ 너에게 보낸다--(중략)--내 작은 손글씨로/ 니가 그리운 날에 편지를 쓴다/ 쓰고 또 쓰고 쓰고 쓰고/널 그리워하며/ 편지 속에 담는다.”(신세미의 ‘손글씨’) 오늘따라 대중가요가 새삼 감동으로 다가온다.

/김용재 전주교대 교수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새해 #손글씨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오피니언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