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5 01:33 (Wed)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오피니언 chevron_right 문화마주보기
외부기고

신흥계곡, 도라지밭 옆에서

image
이선애  농부∙완주자연지킴이연대 활동가

어느 봄날이었나, 아니 여름날이었나, 길게 산책을 하면서 이런저런 잡념을 추스르느라 나비 한 마리 눈길을 끌지 못했는데, 마짐바위에 이르자 문득 그 잡념이 소슬하게 가셨다. 무심하게 하천에 눈길을 돌리다 작고 동그란 까만 눈과 시선이 마주쳤다. 수달이었다. 수달은 나에게 아무것도 기대하지 않는다는 듯이 물 위에 평화롭게 하늘을 향해 배를 드러내고 그렇게 누워있었다. 순간 그 천연한 모습에 마음을 빼앗기고 서 있었다. 이후 신흥계곡에서 수달을 본 적이 없다. 신흥계곡은 점점 변해갔다, 뜨거운 여름날에도 시원한 계곡물에 발 담그기가 꺼려질 정도로 해캄과 수초로 덮여 버린 곳을 수달이 다시 오기를 기대하기는 어려울듯하다. 다시는 그 천연한 귀여운 모습을 보던 계곡으로 되돌리기는 더더욱 어려울듯하다. 다만 내 머릿속에서만 수도 없이 되풀이되어 나타나는 수달과의 만남은 속 깊이 커나가는 아픈 기억이 되었다.

작년 7월, 늘 다니던 길을 벗어나 신흥계곡 상류에 있는 신흥골로 접어들었다. 이곳은 좁은 오솔길이 깊숙이 나 있었지만, 인적이 없는 울창한 검은 숲에 두려움을 느낀 나머지 얼마 걷지 않아 가던 길을 포기하고 되돌아감으로써 안쪽으로 깊숙이 가보지 못한 곳이었다. 그랬던 신흥골에 난리가 났다. 깊숙한 좁은 오솔길은 사라지고 포클레인과 트럭이 오가고 있었다. 두려움을 줄 정도로 원시림 같았던 검은 숲이 속절없이 훼손되고 있었다. 태풍과 소나기가 쏟아지던 7월 장마 중에 깊은 산골 숲속에선 산을 뭉개고 길을 내고 그 길 끝에 3m는 족히 넘는 축대를 쌓아 거대한 인공의 섬을 만들었다. 그 섬을 만든이는 도라지밭이라 우겼다. 섬이든 도라지밭이든 그 앞에서 미래에 대한 위협을 느꼈다. 마치 ‘위험사회’의 바벨탑처럼 보였기 때문이다. 바벨탑은 무너지기 위해서 쌓는 것이 아닌가! 동식물과 인간으로 구성된 지구 속 하나의 공동체 속에서 적나라하게 드러난 저 벌거벗은 모습이야말로 실제 나의 모습 같아서 두려웠다. 마짐바위 옆 개울에서 천연하게 나를 바라보던 수달의 모습 같아서 두려웠다. 나무가 베어지고 동물들이 사라지는 곳에서, 나 자신은 희생자라 느꼈다. 우리는 지금 “인류 역사상 가장 파괴적이고, 따라서 가장 어리석은 시대”(웬델)에 살고 있다. 전 지구적 자본주의의 시대인지라 산골이라 하여 피해갈 수는 없는 것 같다. 

이후 가끔씩 동무들과 도라지 한뿌리 없는 도라지밭으로 걷는다. 불법으로 조성된 도라지밭은 1년이 훨씬 지나도 그대로 방치되어 있고, 큰비에 이미 위험을 예상했던 것처럼 벌거벗은 주변은 이리저리 골이 파여 어수선하다. 어찌하여 이들은 이토록 잔인하게 자연에 상처를 입히고 위협을 가하는 것일까? 소문은 무성하나 “다만 할 수 있는 건 열심히 걸어가는 일”(권경인) 뿐이어서 걷는다. 

 태양은 빛나고, 훈풍이 살살거리는 완벽한 날이었다. 깊은 산속 도라지밭 옆 계곡에 흐르는 맑은 물소리에 이끌려 모두 양말을 벗고 그 쨍한 차가운 계곡물에 발을 담갔다. 느리지만 숙지게 걸으면서 여기까지 온 동무들이다. 평평한 바위를 찾아 잠시 머무르니 머릿속까지 얼얼해지며 마음이 움직인다. 계곡물에 발을 담그는 아주 단순한 행위가 지금 여기 있는 동무들을 ‘우리’라는 연대의식으로 묶어 놓았다. 아, 내가 열렬히 좋아했던 것은 바로 이런 느낌이었구나!

“개인은 자신의 장소와 별개가 아니다. 그가 바로 장소이다.”(에드워드 랠프)  

/이선애  농부∙완주자연지킴이연대 활동가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선애 #문화마주보기 #신흥계곡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오피니언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