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와 14개 시·군이 삼성전자와 손잡고 지역 중소기업 제조혁신에 나섰다. 지난 19일 전북자치도와 삼성전자, 14개 시·군은 ‘2024년도 전북형 스마트 제조혁신 프로젝트의 성공 수행을 위한 선정기업 지원 협약식’을 열었다. 전북자치도 등 지자체와 초일류기업인 삼성전자가 의기투합해 전국 최초로 추진하는 민·관 상생 지역특화 스마트 제조혁신 사업이다. 앞서 전북자치도와 14개 시·군, 삼성전자, 전북·삼성 스마트CEO포럼 등은 지난해 11월 ‘전북형 스마트 제조혁신 프로젝트’ 업무협약을 맺었다. 삼성전자의 상생형 스마트공장 지원사업은 중소기업의 생산성과 경쟁력 향상을 위해 삼성의 기술을 중소기업 맞춤형으로 전수하는 사업이다. 이를 지자체에서 확장한 것이 전북형 상생협력 사업이며, 지자체 차원에서는 전국 첫 시도다. 전북자치도는 이 프로젝트를 위해 삼성전자에서 20년 이상의 제조혁신 경력을 가진 전문가 30명을 채용해 전북형 스마트공장 멘토그룹을 결성하고, ‘전북형 스마트 제조혁신센터’와 ‘삼성 스마트팩토리 아카데미 전북캠퍼스’ 를 구축하기도 했다.
사실 전북은 그간 삼성그룹과 관계가 별로 좋지 않았다.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글로벌 기업 삼성의 투자를 이끌어내기 위한 전북의 구애활동은 수십년 동안 이어졌다. 하지만 실망의 연속이었다. 특히 삼성의 새만금 투자 무산에 따른 후유증은 상당기간 지속됐다. 삼성그룹은 지난 2011년 국무총리실·전북도와 ‘새만금사업 투자 및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지만, 5년 만에 이를 백지화했다. 기대가 컸던 만큼 실망과 상처도 깊었다.
그래도 전북은 삼성과의 상생협력에 지속적으로 공을 들였고, 지난해 9월에는 삼성전자가 고창에 3000억원을 들여 호남권 최대 규모의 물류센터를 조성하기로 하고 지자체와 투자협약을 맺었다. 삼성이 전북에 대규모 사업장을 구축한 최초의 사례다. 그리고 ‘전북형 스마트 제조혁신 프로젝트’를 추진하면서 양측의 거리는 더 좁혀졌다.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자체와 대기업의 상생협력 프로젝트가 지속적으로 추진돼 의미 있는 성과로 이어지길 바란다. 아울러 전북과 글로벌 기업 삼성의 민·관 상생협력 프로젝트의 성과가 투자유치 등 지역경제 전반으로 확산하길 기대한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