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에서 부산, 인천, 목포항에 이어 마산항과 함께 4번째로 문을 연 군산항!
1899년 개항한 지 125년이 돼 유구한 역사를 자랑하면서 선석도 31개에 달하는 국내 중견 종합 항만으로 도내 유일의 무역항이다.
그러나 침체에 침체를 거듭하면서 오늘날 국내 14 국가관리무역항 중 12위으로 밀려나는 등 위상은 크게 실추됐다.
무엇이 군산항을 이같이 만들고 있나.
첫째, 심각한 토사매몰현상과 정부의 준설의무 미흡이다.
군산항으로 연간 300여만㎥의 토사가 몰려들고 있다. 그러나 정부의 미흡한 준설의무이행으로 매년 200여만㎥의 토사가 준설되지 못하고 쌓여가고 있다. 수심은 갈수록 악화돼 가고 있다.
항로와 선석 수심이 계획대로 확보되지 않은 것은 물론이다. 그동안 부두만 건설됐지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면서 군산항의 처리 물동량은 전국의 1.5%에 그치는 등 알량하다.
선사는 물론 화주들도 군산항을 기피하고 있다. 도내 수출입 업체의 겨우 5%만이 군산항을 이용하고 있을 뿐이다.
부두운영회사와 도선및 선박 대리점 업계는 낮은 수심때문에 '선박이 해저에 닿지 않을까', '원활하게 하역은 할 수 있을까' 전전긍긍하고 있다. 이는 현재 일상이 됐고 '으레, 그러러니....'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둘째, 이같은 상황속에서 군산항을 찾는 고객들에게 양질의 서비스마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지난 1997년 하역사들이 부두를 임차해 운영하는 부두운영회사제 도입 이후 일부 하역사의 부두 독과점 운영(?)으로 항만의 주인인 화주들은 '왕(王)이 아니라 졸(卒)'로 푸대접받고 있다.
이런 저런 이유로 하역사들이 일방적으로 하역을 미루고 늑장을 부려도 화주들은 '끽 소리' 조차 내지 못하고 있다. 화주들은 어쩔 수 없는 상황속에서 '울며 겨자 먹기' 로 군산항을 이용하고 있다. 고객에게 감동은 커녕 '무슨 항만이 이래∼'라는 눈총을 받기 일쑤다. 군산항의 대외 이미지가 땅에 떨어진 지 오래다.
셋째, 무관심이다.
도내 정치권과 행정기관 및 항만인마저 군산항에 대해 각별한 애정이 없다.
국가관리무역항으로 '국가사무'라며 도외시해왔고 현안에 발생했을 때 끈기있게 해결해 가는 결집력이 없다.
군산항은 선거때만 반짝 이용될 뿐이다. 그리고 어느 이슈가 터졌을 때만 군산항을 위한 노력을 하는 척 보여주기식 반짝 쇼만 있었을 뿐이다.
항만에서 생계를 이어가는 항만인들마저 자신들과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없으면 군산항 전체의 발전에 눈길을 주지 않는다. 뒷전에서 구시렁거릴 뿐이다. 한마디로 군산항에 주인이 없다.
현재 새만금 신항은 건설이 터덕거려 2026년부터의 개항과 운영이 안갯속이다.
이런 현실속에서 군산항은 2026년, 2027년, 2028년 준설토 투기장의 공백기를 앞두고 자칫 준설을 하지 못해 항만운영이 나락으로 떨어질 위기에 봉착해 있다.
항만운영마저 삐걱대면 항구도시인 군산은 물론 전북자치도는 바다로 나가는 해외 물류창구가 막혀 지역경제가 치명타를 입게 된다.
드러난 문제점을 직시하고 끝까지 해결해 나가는 우리 모두의 주인 의식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전북경제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는 군산항을 언제까지 우리 스스로 홀대할 셈인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