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5 08:15 (Wed)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경제 chevron_right 경제일반
자체기사

[농어촌공사 익산지사 물관리 실태와 이면] (상) 비급수기 - 물길이 멈춰도 점검은 안 멈춘다

(상) 멈춘 물길, 멈추지 않는 손길

image
농어촌공사 익산지사에서 관리하는 왕궁저수지./농어촌공사 제공.

기후위기 시대, 물은 더 이상 풍요의 상징이 아닌 생존의 조건이다. 농업용수는 단순한 자원이 아니라 식량안보를 떠받치는 생명줄이 됐다. 익산에서 한국농어촌공사가 펼치는 365일의 물 관리는, 단 한 시기도 방심이 없다. 눈에 띄지 않는 계절, 물이 멈춘 겨울에도 흐름은 계속된다. 전북일보는 3회에 걸쳐 비급수기(10월~3월), 급수기(4월~9월), 재난 상황으로 나뉜 익산지사의 물 관리 실태와 이면을 통해, 농심(農心)의 진짜 무게를 전한다.

"비가 오면 잠을 이루지 못한다"는 말은 여름밤에나 어울릴 듯하지만, 익산지사의 겨울은 정적 속에서 더 치열하게 움직인다. 농사가 멈춘 시기, 물도 멈춘 듯 보이지만 한국농어촌공사 익산지사의 물 관리 작업은 이때가 오히려 절정이다.

익산지사는 총 239개의 물관리 시설을 운영 중이다. 이 가운데 저수지 26개, 양수장 117개, 배수장 19개, 취입보 37개, 관정 40개가 1,556km의 용수로와 800km에 달하는 배수로를 따라 분포돼 있다. 이 방대한 시설을 매년 10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 6개월 동안 점검·보수하는 것이 비급수기 핵심 과업이다.

우선, ‘돌다리도 두들겨 보고 건너라’는 원칙 아래 정기점검·특별점검·일상점검이 반복된다. 기전시설과 자동화 설비, 경보 시스템을 비롯해 D등급 이하 시설에 대한 정밀점검도 실시된다. 해빙기 지반 융해로 인한 건설현장 사고를 막기 위해 안전 매뉴얼에 따른 불시 점검도 병행된다.

익산지사는 디지털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물관리’ 시스템도 병행하고 있다. 농업기반시설관리시스템(RIMS)은 저수지 제원, 수혜면적, 점검 이력 등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며, 농촌용수종합정보시스템(RAWRIS)은 수질·수량·수위·유량·염도 데이터를 수집해 온라인으로 분석·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기계가 기억하고 계산하는 만큼, 사람의 발걸음은 더 정밀해졌다.

수질 관리와 환경정화도 주요 업무다. 농업용 저수지의 수질을 정기 조사하고, 둘레길에 버려진 쓰레기를 시민들과 함께 수거하는 ‘쓰담쓰담’ 활동은 농업용수의 공익적 가치를 넓히는 실천이다. 깨끗한 물이 깨끗한 식탁으로 이어진다는 믿음 아래, 익산지사는 시민들과 물길을 함께 걷는다.

드라마 ‘슬기로운 의사생활’ 속 한 대사처럼, “의사가 환자에게 확실히 할 수 있는 말은 단 하나,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농업도 다르지 않다. 겨울의 정적 속에서도 익산지사는 ‘물이 멈춰도 우리는 멈추지 않는다’는 각오로 농업의 심장을 준비하고 있다.<계속>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농어촌공사 익산지사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경제섹션